계엄군 적극적 물리력 행사 안 해… 자식 군대 보낸 부모들, 밤새 가슴 졸였다

계엄군 적극적 물리력 행사 안 해… 자식 군대 보낸 부모들, 밤새 가슴 졸였다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4-12-05 01:11
수정 2024-12-05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좌관과 대치… 유혈 충돌은 피해
“선포일 연락 안 돼” 걱정·분노의 밤
“北공격 유발 가능성 얘기도 돌아”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국회에 무장한 채 투입된 계엄군이 국회 보좌진 등과 몸싸움을 벌였지만 적극적으로 물리력을 행사하지는 않았다. 덕분에 우려했던 유혈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 갑작스럽게 비상계엄이 선포된 데다 계엄군이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투입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군의 이성적인 판단도 한몫했다. 군부대에 자식을 보냈거나 보낼 예정인 부모들은 가슴을 졸인 채 밤을 지새웠다.

4일 복수의 군 소식통에 따르면 비상계엄 선포 후 국회에는 특수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병력이 투입됐다. 소총으로 무장한 계엄군이 본청 진입이 막히자 창문을 깨고 들어가는 모습이 포착됐으며 경내 곳곳에서 보좌진과 대치했다. 계엄군은 국회의 계엄 해제 시도를 막기 위해 투입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본회의장에 진입하거나 본회의에 출석하려는 국회의원을 체포하지는 않았다.

국회가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을 가결한 후 의사당에서 철수하던 계엄군 가운데 한 명이 ‘죄송하다’며 허리 숙여 인사하는 모습을 찍은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함께 온라인에 게재된 관련 기사에는 수백 개의 댓글이 달렸다. 대부분 “군인들의 잘못이 아니다”라는 댓글이었다. 아들을 군대에 보낸 부모로서, 기성세대로서 군인들에 대한 미안함을 담은 내용들이 많았다.

군복무 중인 아들을 둔 부모들은 계엄이 선포된 당일 뜬눈으로 밤을 새웠다. 경기 연천군의 모 군부대에서 아들이 상병으로 복무 중인 50대 A씨는 “아들이 여의도 국회 등에 출동한 특수부대 소속은 아니지만 계엄 선포일부터 계속 연락이 안 돼 마음을 졸이다가 이날 겨우 연락이 닿았다. 계엄이 남의 일이 아닌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서울에 거주 중인 40대 주부 B씨도 “내년 여름 큰아들이 입대를 앞두고 있는데 맘카페 등에서 우리 정부가 북의 공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 불안해 죽겠다. 괜히 우리 아이에게 불똥이 튀는 게 아닌지 모르겠다. 어서 나라가 안정화돼야 군에 아이들을 보낸 부모들이 두 발 뻗고 자지 않겠느냐”고 탄식했다.

2024-12-0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