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수능… 수리영역 대비법
1994년 대입 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된 이후 수리영역은 매년 변별력의 핵심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많은 학생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과목이었지만, 올해는 어느 해보다도 쉬운 수능시험이 될 것으로 예고되면서 수리영역을 어느 기준으로 대비하느냐를 두고 고민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지난 6월 모의고사 난도를 토대로 올해 수리영역에 대한 준비 요령을 알아보자.올해 6월 모의평가는 교육 당국의 ‘쉬운 수능, EBS 연계율 70%’ 약속에 맞춰 이에 충실하게 출제됐다. 하지만 지나치게 쉬운 출제로 만점자가 1%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상위권 학생들은 실력이 아니라 실수 하나로 등급이 뒤바뀌는 상황이 벌어질 전망이다. 모의고사가 쉬웠다고 실제 수능도 현재의 난도로 출제될 것이라고 믿는 것은 금물이다. 지난해에도 6월 모의평가에 비해 9월 모의평가와 수능에서의 수리영역 난도가 상승해 많은 학생이 고전했다.
●6월 모의평가와 난도 달라질 듯
주의할 점은 수능은 어디까지나 상대평가라는 것. 쉬운 수능으로 원점수가 잘 나올 수 있어도 상대적인 위치까지 상승하기는 어렵다. 수능시험이 쉬워지면 나뿐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쉽고, 성적도 다 같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에 쉽게 출제되었다고 안이하게 생각하기보다는 적어도 지금보다는 난도가 높아질 것이라 예상하고 그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좋다.
올해 수리영역 학습의 관건은 새로 추가된 단원을 어떻게 공부하느냐에 있다. 많은 학생들이 모의평가 출제범위에 맞춰 학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수리영역 전 범위가 출제되는 9월 모의평가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받을 수 있다. 앞의 단원들은 자주 복습하는 반면, 뒤의 단원들에 대한 복습은 많이 이뤄지지 않아 생기는 결과다.
●기출문제 풀어 출제유형 익혀야
특히 이번 6월 모의평가에 출제되지 않은 단원들은 많은 학생이 어려워 하는 부분이다. 수리가, 나형 모두에서 출제되는 통계는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도 어려워 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단원과 달리 개념 이해가 쉽지 않고, 문제를 변형했을 때 동일 유형이라고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공부할 때 뒤로 미루거나 대충 이해하고 문제 풀이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통계는 꼼꼼히 과정을 따라가면 의외로 연관성을 이해하기 쉽고, 문제 유형 또한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통계 외에 추가되는 단원은 수리 가형의 공간도형과 벡터, 수리 나형의 적분법 등이다. 이 부분은 개념이 어렵고 문제 유형도 다양해 단기간에 공부하기가 쉽지 않다. 그만큼 자신의 실력을 먼저 점검한 후 학습 방향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 그 후에 해당 단원의 기출문제를 풀어 출제 유형을 익히도록 한다.
6월 모의평가에서 새로 추가된 단원은 기존 기출문제 유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특히 수리 나형에서 추가된 함수의 극한과 연속, 미분법 단원은 수리 가형에서 출제되었던 유형과 유사했다. 따라서 EBS교재로 개념을 충실히 다지면서 수리 가형에서 해당 단원의 기출문제들을 풀어 문제 유형을 익힌다면 새롭게 추가되는 단원에 대한 대비는 큰 문제가 없다. 다만, 응용이나 변형된 문제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자. 수리 가형의 통계 단원에서 미적분을 활용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크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연관성이 없는 단원이었으나 9월 모의평가에서는 통합해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기출문제가 없으므로 EBS교재 등을 풀 때 개념이 어떻게 연계되는지 과정 이해에 초점을 맞춰 학습하자.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6-2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