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비대위 정부와 일단 협의키로
대한의사협회의 내홍으로 차질이 예상됐던 원격의료 시범 사업이 예정대로 이달부터 추진된다. 의협은 2일 상임이사회를 열어 최재욱 상근부회장을 총괄단장으로 하는 ‘의정합의 이행추진단’을 구성하고 곧 정부와 본격적인 협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노환규 의협회장의 현 집행부에 반기를 든 의협 대의원회가 3일 새 비대위를 꾸리기로 했지만 이들도 원격의료 시범 사업을 실시하는 데는 이견이 없어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는 이번 시범 사업을 통해 원격의료의 안전성이 입증되기를, 조만간 출범이 유력한 의사협회 중심의 새 비대위는 원격의료의 위험성이 입증되기를 바라는 분위기여서 시범 사업 종료까지 앞으로 6개월간 위태로운 동행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상이몽’의 정부와 의료계가 한배를 타게 되는 셈이다.
의협 새 비대위 구성에 참여하고 있는 최장락 대의원회 대변인은 “의협 회원들의 기본적인 입장은 원격의료 원천 반대”라면서 “이번 시범 사업을 통해 의료계가 걱정한 오진 가능성, 동네 의원 경영 악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날 경우 새로운 투쟁이 촉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 대변인은 “새 비대위가 출범해도 의정 협의안의 큰 틀은 흔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당장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주 중 의협 측 의정합의 이행추진단과 상견례를 겸한 첫 회의를 한 뒤 시범 사업 규모와 방법 등을 확정해 적어도 오는 15일부터 시범 사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전병왕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의협 사정으로 협의가 좀 늦어지기는 했지만 동네 의원과 경증 질환자를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실시하고 기존에 의료인 간 원격의료를 했던 경험을 접목하면 완벽하지는 않아도 6개월 안에 검증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협 대의원회는 노 회장을 빼고 새 비대위를 구성하기로 한 기존 방침을 바꿔 노 회장을 고문 자격으로 비대위에 참여시키기로 했다. 새 비대위 출범이 의협 내 세력 간 내홍으로 비치는 것을 의식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4-0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