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유사 증세 대처법
만약 37.5도 이상의 고열, 기침, 호흡 곤란 등 메르스와 유사한 증세가 나타난다면 어떡해야 할까. 가장 빠른 방법은 정부 콜센터인 ‘메르스 핫라인’(043-719-7777)이나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연락하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찾아가야 시간과 수고를 덜 수 있다. 의료기관에 갈 때는 꼭 마스크를 착용한다.
만약 환자와 2m 이내 거리에서 밀접하게 접촉했다면 증상이 없더라도 보건소에 연락해야 한다. 엄중식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보통 메르스는 2m 이내에서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분비물로 전파된다”며 “환자와 밀접 접촉 시 가족과 주변 사람을 위해 접촉일을 기준으로 14일간 격리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50세 이상이면서 당뇨병, 신장질환 등 기존에 병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시설 격리 대신 자가 격리를 선택할 수 있다. 격리 중에는 동거인과 2m 거리를 항상 유지하고 하루에 두 차례 체온을 측정해 보건소에 알려야 한다. 다른 사람을 위해 외출은 삼가야 한다. 자가격리돼 생계 문제에 봉착하면 정부로부터 긴급 생계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현재 메르스 치료는 환자 자신의 면역력으로 바이러스를 이겨낼 수 있도록 돕는 보조치료법인 대증요법을 쓰고 있다. 메르스가 아닌 다른 바이러스 감염증에 유효한 인터페론이나 리바비린 같은 약물도 환자에게 투여하고 있다. 임상시험을 거치진 않았지만 일단 동물실험에서는 메르스 바이러스를 이기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에 효과적이어서 허가가 난 항바이러스제가 없을 뿐이지 쓸 수 있는 약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0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