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농구는 중국에 져 아쉬운 銀

女농구는 중국에 져 아쉬운 銀

입력 2010-11-26 00:00
수정 2010-11-26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4년 히로시마 대회 이후 16년 만의 금메달을 노렸던 여자농구 대표팀이 결국 ‘만리장성’을 넘지 못했다. 그래도 온갖 불협화음을 딛고 얻어낸 값진 은메달이었다.

그동안 대표팀에는 온갖 악재가 잇따랐다. 정선민의 부상공백은 시작에 불과했다. 광저우 출국 전 일부 구단의 선수 차출 반대로 신정자·김보미·이경은(이상 kdb생명)·김지윤(신세계) 등 선수 4명이 뒤늦게 합류했다. 이게 끝이 아니었다. 선수들은 현지에서도 부상병동이었다. 손목·발목 등 부상으로 병원 입원 중이던 김지윤은 경기를 소화할 몸이 아니었다. 김계령(신세계)도 무릎 통증을 호소했다. 믿었던 최장신 센터 하은주(202㎝)도 지난 21일 갑자기 발목 아킬레스건 인대 부상을 당했다. 3주 동안 경기를 뛸 수 없다는 진단이 나왔다. 조기 귀국까지 고려됐다.

하지만 하은주는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자진해서 나섰다. 아파도 참고 뛴 그는 19점을 몰아넣으며 부활했다. 선수들은 이에 크게 자극받았다.

그러나 임달식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25일 광저우 국제 스포츠 아레나에서 열린 중국과의 결승전에서 64-70으로 져 은메달에 머물렀다. 발목 인대를 다친 하은주가 부상투혼을 발휘했지만, 상대팀 센터 천난(197㎝)을 막지 못했다. 변연하는 양팀 최다인 23점을 쓸어담았으나 팀 패배로 빛이 바랬다.

안타깝게도 리바운드 싸움에서 크게 밀렸다. 한국이 15개, 중국이 30개로 두 배나 앞섰다. 전반을 28-39로 크게 뒤진 한국은 변연하와 박정은(14점), 신정자(12점)가 맹활약해 점수차를 차근차근 좁혀나갔다. 4쿼터에는 마지막 힘을 쥐어 짜냈다. 신정자의 중거리슛이 림을 통과하는 순간 64-66으로 점수를 2점차까지 좁혔다. 그러나 종료 9초전 이미선의 반칙이 선언됐다. 타이밍이 절묘했다. 결국 자유투에 이어 골밑슛까지 성공한 중국에 승부를 내줬다.

광저우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0-11-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