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0년 亞가 경제중심”

“향후 10년 亞가 경제중심”

입력 2010-01-22 00:00
수정 2010-01-22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앞으로 10년은 중국의 10년, 아시아의 10년이 될 것입니다.”

미국 최고의 경기동향 예측가인 앨런 사이나이(71) 박사는 21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한국무역협회와 세계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조찬강연에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경제를 밝게 전망했다.
이미지 확대
앨런 사이나이 박사
앨런 사이나이 박사


사이나이 박사는 ‘위기 이후 미국과 세계 경제 전망, 그리고 유산과 정책과제’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지난해 중국은 세계 3위 경제국이었지만 이제 2대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며 “지난 12년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6배 커진 반면 미국 GDP는 크지만 앞으로 늘어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이 올해 10%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에 미국은 3% 성장도 힘들 것으로 관측했다. 인도는 8~9%, 호주와 싱가포르는 7% 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사이나이 박사는 “한국도 빠른 성장을 지속하는데, 올해와 내년에 6%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한국은행 4.6% 등 국내 경제기관의 성장률 예측치보다 높은 것이다.

이런 낙관의 근거는 전 세계가 겪은 극심한 금융위기에서 아시아는 몸살만 앓으면서 오히려 체질을 강화했다는 판단에 있다. 그는 “아시아 국가들은 회복력이 높고 펀더멘털을 지켰다”며 “아시아 통화는 앞으로 더 강해질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와 달리 미국 경제는 위험을 감수한 경기부양책으로 일단 살아났지만 아시아와 같은 ‘V자형’ 회복이 아닌 지지부진한 과정이 될 것으로 점쳤다. 그는 “미국 기업이 임금을 삭감하려 하고 채용을 꺼리기 때문에 고용이 없다는 것이 부작용”이라고 지적했다.

사이나이 박사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등에서 교수 생활을 하다가 리먼브러더스 이코노미스트로 월가에 데뷔하면서 경기 진단의 대가로 명성을 쌓았다. 매년 한국을 한 차례 이상 방문해 한국 경제에 대한 이해도 깊고 백악관, 의회,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등 미 정부기관에서 경제정책을 자문했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10-01-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