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실적호전 ‘자구노력+경기부양+환율’ 때문

제조업 실적호전 ‘자구노력+경기부양+환율’ 때문

입력 2010-04-05 00:00
수정 2010-04-05 13: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영업익 19조↑…1분기 이익 증가세 지속 추정

지난해 상장 기업들은 매출액은 줄어든데 비해 영업이익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기 한파에도 이처럼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은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기업들의 자구 노력에 전세계적인 경기 부양책과 원·달러 환율의 하향 안정화 같은 대외 여건 등이 맞물린 데 따른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5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발표한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565개의 지난해 영업실적 집계 결과 매출액은 880조7천667억원으로 0.27%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55조5천805억원으로 2.03% 증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건설·서비스업의 경우 지난해 전체 분석대상 상장기업의 매출액이 감소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1.07%의 매출액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 증가율은 4.07%나 됐다.

 지난해 부채비율은 94.97%로 7.74% 감소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의 체질 개선 노력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시장 침체를 이기지 못한 철강금속은 영업이익이 55.97% 감소했고,운수창고 역시 세계적인 해운사 불황의 파고를 넘지 못하고 적자로 돌아선 영업수지 성적표를 내놓았다.

 또 금융업종은 제조업체 매출액과 비교되는 영업수익이 17.97%,영업이익이 13.28% 각각 감소하며 전체 상장기업의 수익성 개선 성과를 잠식했다.

 개별 기업으로는 삼성전자[005930]나 포스코[005490] 같은 국내 대표 기업들의 영업실적이 두드러졌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6조3천485억원으로 분석 대상 기업들 가운데 독보적인 1위에 올랐고,포스코는 2008년에 비해 50% 이상 영업이익이 감소했음에도 3조1천479억원을 기록하며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영업이익 순위 3∼5위 기업들 역시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SK텔레콤 등 주요 대기업이었다.

 지난해 상장기업들이 보였던 이익 증가세는 지난 1분기까지 이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취합한 주요 500대 상장사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20조3천174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5.71%,지난해 4분기보다 47.88%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양종합금융증권이 자체 분석대상업체 220개를 대상으로 추산한 지난 1분기 영업이익도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인 약 21조8천억원이었다.

 오성진 현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기업들이 위기 극복 과정에서 시장 지배력을 높인 것은 물론 환율 효과와 낮은 재고를 토대로 내실을 다졌다”며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길러진 기업들의 시장 적응력이 이번에 확인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