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주요 20개국(G20) 합의로 환율과 관련한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총재는 29일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한 최고경영자 조찬 강연에서 G20 경주회의 때 환율 문제를 두고 합의된 3가지 원칙과 관련해 이같이 밝히고 “수출입 거래에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3가지 원칙은 ▲‘시장결정적’ 환율제도 이행 ▲화폐 가치의 경쟁적 절하 자제 ▲선진국의 자국 환율 변동성과 무질서한 움직임 경계다.
김 총재는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과도한 자본 유출입의 영향을 완화하려는 거시건전성 정책 체계를 추가 논의한다”며 “최근 과도한 자본 유출입이 환율 변동성을 증폭시켰다는 점에서 이러한 논의는 환율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20 경주회의에서 각국이 국내총생산(GDP)의 일정 수준 이하로 경상수지를 유지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서도 우리나라가 크게 손해 볼 게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 총재는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2008년을 제외하고 경상수지가 매년 흑자를 보이고 있으나 GDP 대비 흑자 규모는 독일, 중국, 일본 등보다 작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지속 가능한 경상수지 규모에 대해 ‘예시적 가이드라인’이 제시돼도 수출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별도의 대응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령 GDP의 4% 이내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유지한다는 방안이 채택돼도 우리로서는 흑자 폭을 줄이려고 원화 가치 상승(환율 하락)을 유도하는 등 수출 억제책을 쓸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이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날 방송기자클럽 간담회에서 경상수지 목표제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어떤 경우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여 마음이 편하다”고 언급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김 총재는 “경상수지 불균형 국가 간 조정이 진전되면 무역 여건의 불확실성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며 “결과적으로 무역장벽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의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소지는 작아졌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김 총재는 29일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한 최고경영자 조찬 강연에서 G20 경주회의 때 환율 문제를 두고 합의된 3가지 원칙과 관련해 이같이 밝히고 “수출입 거래에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3가지 원칙은 ▲‘시장결정적’ 환율제도 이행 ▲화폐 가치의 경쟁적 절하 자제 ▲선진국의 자국 환율 변동성과 무질서한 움직임 경계다.
김 총재는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과도한 자본 유출입의 영향을 완화하려는 거시건전성 정책 체계를 추가 논의한다”며 “최근 과도한 자본 유출입이 환율 변동성을 증폭시켰다는 점에서 이러한 논의는 환율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20 경주회의에서 각국이 국내총생산(GDP)의 일정 수준 이하로 경상수지를 유지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서도 우리나라가 크게 손해 볼 게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 총재는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2008년을 제외하고 경상수지가 매년 흑자를 보이고 있으나 GDP 대비 흑자 규모는 독일, 중국, 일본 등보다 작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지속 가능한 경상수지 규모에 대해 ‘예시적 가이드라인’이 제시돼도 수출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별도의 대응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령 GDP의 4% 이내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유지한다는 방안이 채택돼도 우리로서는 흑자 폭을 줄이려고 원화 가치 상승(환율 하락)을 유도하는 등 수출 억제책을 쓸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이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날 방송기자클럽 간담회에서 경상수지 목표제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어떤 경우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여 마음이 편하다”고 언급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김 총재는 “경상수지 불균형 국가 간 조정이 진전되면 무역 여건의 불확실성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며 “결과적으로 무역장벽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의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소지는 작아졌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