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유럽위기에 금리동결…내년은?

연평도·유럽위기에 금리동결…내년은?

입력 2010-12-09 00:00
수정 2010-12-09 1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준금리가 지난 7월과 11월 두 차례 인상으로 한 해를 마감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9일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동결했다.국내외 금융시장과 경기가 불안해짐에 따라 좀 더 상황을 지켜보자는 ‘신중론’에 힘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월보다 낮아지면서 기준금리를 두 달 연속 올리는 게 다소 부담스러운 측면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시장의 관심은 내년 중 기준금리가 얼마나 빨리 ‘정상수준’을 향해 인상될지에 모아졌다.대다수 전문가는 금통위가 올해 하반기와 비슷하게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올려 충격을 최소화할 것으로 관측했다.

 ◇금융시장 아직 ‘살얼음판’…경기도 둔화조짐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국내 금융시장을 둘러싼 상황 전개가 여전히 예측불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선 폭발력이 큰 유럽의 재정위기가 여전히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으로 인식됐다.

 그리스나 아일랜드 같은 ‘주변국’은 구제금융을 수혈해 한숨 돌렸지만 위기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등 ‘중심국’으로 번진다면 전 세계 금융시장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요동친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최근 “유럽 재정위기가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반도에 드리운 일촉즉발의 군사적 긴장 역시 금융시장의 잠재적 불안 요인이다.

 지난달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출렁였던 국내 금융시장이 이제 막 회복한 상황에서 북한의 추가 도발이나 위협은 언제든지 다시 시장에 불안감을 확산시킬 수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과천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아직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경기 여건도 기준금리 인상에 긍정적이지 않다.지난 3분기 경제 성장률은 전기 대비 0.7%에 그쳤다.10월의 전월 대비 광공업 생산은 22개월 만에 가장 많이 감소했고 경기 선행지수는 10개월째 하락해 둔화 조짐을 보였다.

 11월 물가 상승률은 3.3%로 10월의 4.1%보다 낮아졌다.여전히 한은의 물가관리 목표 중심치(3%)를 웃돌지만 기준금리를 연거푸 올리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수준으로 여겨질 수 있다.

 ◇내년 몇%까지 올릴까…시장은 “3.25~3.50%”

 시장의 관심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내년 중 과연 몇%까지 끌어올릴지에 쏠려 있다.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과 발행 물량 부족 등으로 채권금리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기준금리가 제 역할을 해 줘야 시장금리의 ‘왜곡’을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금통위가 가파른 인상보다는 올해 하반기처럼 분기에 한 차례씩 올리는 정도의 점진적인 행보를 택할 것으로 내다봤다.이에 따라 내년 중 기준금리는 3.25~3.50%까지 오를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대우증권 윤여삼 연구원은 “최근 부동산 시장이 조금 들썩이는 모습이지만 단기간에 급등하지만 않는다면 기준금리는 내년 2분기부터 분기마다 0.25%포인트씩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나대투증권 김상훈 연구원은 “물가상승 압력은 꾸준하겠지만 환율이나 경제 성장을 도외시할 수 없는 금통위로서는 내년 1분기부터 0.25%포인트씩 올리는 방식을 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결국 ‘적정수준’의 기준금리에 아직 못 미치는 금융 완화적인 상태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기준금리의 적정수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4% 안팎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많다.

 또 기준금리 정상화에 방점을 찍고 예상보다 빠른 속도를 낼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대신경제연구소 김윤기 경제조사실장은 “중국 경기가 냉각될 우려는 없고 미국도 2분기부터 경기 회복이 본격화할 수 있어 우리나라는 물가 안정을 위한 선제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며 “내년 중 기준금리를 4% 가까이 올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