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립파 깜짝 발탁… 조직안정에 방점
신한은행이 돛을 새로 올렸다.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이 사의표명을 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단행하면서 조직 추스르기에 돌입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서진원 신임 신한은행장은 30일 서울 남대문로 신한은행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내부의 단합된 힘으로 미래를 향해 용기를 가지고 끊임없이 도전하자.”고 단합을 강조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서 행장은 ‘신한금융사태’와 직접 관련이 없어 은행 안팎과 마찰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 영천 출신으로 계성고·고려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서울신탁은행에 입행한 서 행장은 1983년 신한은행으로 옮겨 인사부장·개인영업추진본부장·신한금융 부사장 등을 거쳐 2007년부터 신한생명 사장으로 일했다.
서 행장은 “아침에야 소식을 전해들어 저 자신도 매우 놀랐다.”면서 “최근 고객들이 걱정하는 부분에 대해 잘 알고 있고, 신한이 거듭나기 위해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신한은행은 이날 오후 행장 이·취임식을 열었다. 이 전 행장의 이임식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서 행장 선임으로 신한 사태를 야기한 ‘빅 3’가 모두 물러나게 됐지만 아직 남은 과제는 많다. 무엇보다 앞으로 3개월이 중요하다. 탕평 인사를 통해 조직을 추스려야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신임 회장으로부터 재신임받을 수 있다. 새로 회장이 선출되면 계열사 임원들은 관례적으로 사표를 제출한다.
내년 주총은 신한 사태가 마무리되는 분수령이다. 신임 회장이 선출되는 데다 등기이사직을 유지하고 있는 ‘빅 3’의 거취도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 최근 검찰로부터 불기소 처분을 받은 라응찬 전 지주 회장이 신한으로 돌아올 수 있을지, 아니면 최소한 사외이사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신임 회장과 교체될 사외이사들의 면면도 관심사다.
이와 관련, 신한금융 특별위원회는 다음달 7일 회의를 열어 신임 회장 자격요건 등 세부절차를 마련한다. 또 신상훈 전 사장과 이 전 행장에 대한 재판도 신한 사태의 향방을 결정할 만한 변수다.
한편 인사에서 권점주 부행장과 김형진 부행장은 신한생명 사장과 신한데이타시스템 사장으로 각각 자리를 승진해 자리를 옮겼고, 또 양기석 신한PE 전무는 사장으로 내정됐으며, 최방길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사장은 연임됐다.
김민희·오달란기자 haru@seoul.co.kr
2010-12-3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