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유사석유 탈루세액 6조8천억원”

“5년간 유사석유 탈루세액 6조8천억원”

입력 2011-03-11 00:00
수정 2011-03-11 08: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유가로 유사석유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유사석유 유통으로 발생한 탈루세액이 6조8천억원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1일 지식경제부가 공개한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5∼2009년) 유사석유제품 유통량은 3천41만1천12㎘이며 이로 인한 탈루세액은 6조8천695억원으로 추산됐다.

2002년 세녹스의 등장과 함께 증가한 유사석유는 2006년 세녹스 파동이 일단락된 직후 유통이 줄었다가 고유가가 시작된 2008년 이후 다시 고개를 드는 것으로 파악된다.

석유검사 비정상률(비정상건수/검사건수)은 2004년 5.6%, 2005년 7.9%에 이어 대법원이 세녹스를 불법으로 규정한 2006년 9.6%까지 솟았다가 2007년 6.3%, 2008년 5.2%으로 내렸지만 2009년에는 5.7%로 소폭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에는 유사경유는 약 534만3천275㎘, 유사휘발유는 약 59만2천88㎘가 유통된 것으로 추산된다.

그해 유사경유가 유통되면서 새어나간 세금은 약 1조1천224억원, 유사휘발유로 인한 탈루세금은 5천312억원이다.

정부는 지난달 경찰과 국세청, 한국석유관리원 등과 ‘유사석유근절대책협의회’를 구성한 데 이어 이달부터는 전국적인 유사석유제품 특별단속을 하고 있다.

정부는 길거리에서 무허가로 유사석유를 판매하는 업자에 대한 단속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중탱크를 설치하거나 비밀스위치를 조작하는 등 지능적인 유사석유 판매업자를 적발하고자 비노출 검사시험 차량과 전파탐지기 등의 첨단 장비를 활용해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은림 서울시의원, 도봉구 전역에 ‘적색잔여신호기’ 2025년 31개소 확대 설치

서울시의회 이은림 의원(국민의힘, 도봉4)은 도봉구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생활밀착형 안전 정책의 하나로 ‘보행신호등 적색잔여시간 표시기’ 설치가 2025년 도봉구 전역 31개소에서 본격 추진된다고 밝혔다. ‘보행신호등 적색잔여시간 표시기’는 보행자가 적색 신호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존 녹색 신호에만 적용되던 잔여시간 표시 기능을 적색 신호에도 확장한 시스템이다. 적색 신호 종료 99초 전부터 6초 전까지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무단횡단을 예방하고, 보행자 대기 불편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 의원은 “적색잔여신호기는 특히 어린이와 어르신 등 교통약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높여주는 효과적인 보행 안전장치”라며 “주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는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서울시와 적극 협의한 결과, 도봉구 주요 교차로에 설치가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2025년 설치 예정인 31개소는 창원초교(3개소), 정의여중입구(4개소), 방학성원아파트(4개소) 등 보행량이 많은 지역을 포함해, 창동운동장, 도봉산역삼거리, 도봉청소년도서관, 방학역 앞 등 주민 밀집 지역이 고루 포함됐다. 이에 앞서 2024년에는 방학교남측, 우이교, 창동중, 농협창동유통센터, 도봉경찰서, 도
thumbnail - 이은림 서울시의원, 도봉구 전역에 ‘적색잔여신호기’ 2025년 31개소 확대 설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