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7대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변동과는 무관하게 예대금리차를 확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2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7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 2.4분기 대비 2010년 2.4분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동결됐지만, 7대 시중은행은 예금금리를 일제히 낮췄고 이 가운데 5개 은행은 대출금리를 인상했다.
이 과정에서 은행들은 0.24∼0.91%포인트에 달하는 예대마진을 추가로 얻었다.
앞서 지난 2007년 1.4분기 대비 2007년 4.4분기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인상된 가운데 7대 시중은행의 절반이 넘는 4개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0.08∼0.59%포인트 확대됐다.
같은 기간 A은행의 대출금리 상승폭은 0.93%포인트로, 기준금리 상승폭의 2배에 육박하는 등 5개 은행이 기준금리 상승폭보다 높게 대출금리를 인상했으며, 3개 시중은행의 예금금리 상승폭은 기준금리 상승폭에 못미치는 0.24∼0.47%포인트에 그쳤다.
또한 한선교 의원은 주택담보 마이너스 대출의 경우 중도해지 수수료를 부과할뿐 아니라 은행이 설정한 최소한의 대출금액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패널티’를 부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시중 금리를 움직이는 척도인데, 기준금리 변동을 이용해 예대마진을 확대하는 것은 문제”라며 “이는 결국 서민의 가계 이자부담으로 귀결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2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7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 2.4분기 대비 2010년 2.4분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동결됐지만, 7대 시중은행은 예금금리를 일제히 낮췄고 이 가운데 5개 은행은 대출금리를 인상했다.
이 과정에서 은행들은 0.24∼0.91%포인트에 달하는 예대마진을 추가로 얻었다.
앞서 지난 2007년 1.4분기 대비 2007년 4.4분기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인상된 가운데 7대 시중은행의 절반이 넘는 4개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0.08∼0.59%포인트 확대됐다.
같은 기간 A은행의 대출금리 상승폭은 0.93%포인트로, 기준금리 상승폭의 2배에 육박하는 등 5개 은행이 기준금리 상승폭보다 높게 대출금리를 인상했으며, 3개 시중은행의 예금금리 상승폭은 기준금리 상승폭에 못미치는 0.24∼0.47%포인트에 그쳤다.
또한 한선교 의원은 주택담보 마이너스 대출의 경우 중도해지 수수료를 부과할뿐 아니라 은행이 설정한 최소한의 대출금액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패널티’를 부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시중 금리를 움직이는 척도인데, 기준금리 변동을 이용해 예대마진을 확대하는 것은 문제”라며 “이는 결국 서민의 가계 이자부담으로 귀결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