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0위권 韓에 헤지펀드 없는게 역차별”
“세계 경제 10위권인 우리나라에 헤지펀드가 없다는 것은 역차별입니다.”최근 금융당국이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왜 국내에 헤지펀드가 생겨야 하는지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실무를 맡고 있는 권대영(43) 금융위원회 자산운용과장은 6일 헤지펀드 도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도 큰 과제라고 강조했다.

권대영 금융위 자산운용과장
→헤지펀드란 무엇인가.
-레버리지, 공매도 등 다양한 전략을 적극 활용해 경제적 가치가 있는 다양한 자산에 자유롭게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주로 위험 회피를 통해 시장 상황에 관계없는 안정적인 수익 추구를 목표로 한다.
→우리에게도 헤지펀드가 필요한가.
-국내에도 창의적인 자산운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헤지펀드는 이러한 수요를 담을 큰 그릇이다. 금융회사는 자율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투자자는 새로운 투자 기회를 갖게 돼 금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나아가 신성장동력 등 리스크가 높은 분야에 자금 공급이 원활해질 수 있다. 해외 헤지펀드의 국내 시장 진출이 늘고 있어 이들과 경쟁할 수 있는 토종 헤지펀드 육성도 시급한 과제다.
→‘투기’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는데.
-‘투기’적인 헤지펀드는 일부분이다. 오히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헤지펀드가 대부분이다. 일부 역기능 때문에 전체를 외면해선 안 된다.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적정 가격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순기능이 좀 더 부각될 필요가 있다.
→한국형 헤지펀드는 어떤 점이 다른가.
-헤지펀드가 시장 교란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감독 강화에 대한 의견이 모아졌다. ‘한국형’이라는 것은 운용 규제는 완화하되 글로벌 규제 논의는 기본으로 하겠다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자기자본이나 전문 인력 등 일정 요건을 만족시켜 인가받은 일부 운용사, 자문사가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해 상충 방지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감독당국이 들여다볼 수 있는 장치도 검토하고 있다. 넓은 운동장을 만들어 마음껏 뛰놀게 하되 큰 펜스는 쳐놓는 것으로 보면 된다.
●‘한국형’은 관리감독 기능 추가
→국내 시장이 헤지펀드를 운용할 인적 인프라 등을 갖추고 있나.
-일단 판을 벌여놓으면 외국계에서 일하는 능력 있는 우리 전문 인력 등이 뛰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학습비를 톡톡히 치르고, 시행착오도 겪을 수 있다. 하지만 시작을 해야 전진이 있다. 가지 않으면 안 되는 길이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4-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