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의사들 부끄러운 밥그릇 싸움

치과 의사들 부끄러운 밥그릇 싸움

입력 2011-07-20 00:00
수정 2011-07-20 09: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원협-네트워크병원 폭로전 점입가경

치과 의료계가 치과개원의협의회와 네트워크치과병원으로 나뉘어 부끄러운 밥그릇 싸움을 벌이고 있다.

최근 임플란트치료 등을 특화한 대형 네트워크 치과병원들이 성업하면서 공격적인 환자 유치에 나서자 기존 치과의사들의 모임인 개원의협의회가 이들 네트워크 병원의 불법행위를 문제 삼아 이에 제동을 건 형국이다.

20일 치과 의료계에 따르면 양측은 서로 ‘발치할 필요가 없는 치아도 뽑아냈다’거나 ‘의사 대신 치위생사가 충치 레진 치료를 했다’, ‘조무사가 스케일링 시술을 하고 있다’는 등의 폭로전을 연일 계속하고 있다.

특히 치과개원의협의회는 이날 네트워크 치과의사들이 이런 사실을 스스로 밝힌 ‘양심고백문’을 갖고 있다며 공세를 강화했다.

치과의사들의 대표 단체인 대한치과의사협회도 최근 홈페이지에 ‘건강은 상품이 아닙니다’라는 슬로내걸고 ‘불법 치과진료 상담센터’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일부 네트워크 병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불법진료 행위를 적발해내겠다는 것이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네트워크 치과들은 싼값에 환자를 유치한 뒤 과잉진료로 이익을 챙기고 있다”면서 “더 이상의 과잉치료와 위임치료를 묵과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맞선 네트워크 치과에서도 전국의 개원치과에서 이뤄지고 있는 1천700건의 불법행위를 영상으로 담았다며 추가 폭로전을 이어가고 있다.

U치과네트워크 관계자는 “그동안 전국의 치과 개원의를 돌며 환자로 가장해 불법 치료과정을 녹화했다”면서 “사정이 이런데도 이런 불법행위가 마치 네트워크 치과병원만의 책임인 것처럼 오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저가 진료에다 공격적 마케팅으로 미움을 받던 상황에서 의료전문지 한 곳에 구인광고를 낸 뒤 사건이 커졌다”면서 “치협이 개원가에 대한 서비스 질 개선은 외면한 채 전문언론과 인맥을 동원해 온갖 비논리적인 잣대로 인하무인격의 집단행동을 서슴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치과 의료계 안팎에서 이런 분란을 보는 시각은 곱지 않다.

모 대학병원 치과 교수는 “이번 분란은 제 얼굴에 침 뱉기 수준이라 창피할 정도”면서 “논란의 핵심은 치과 진료 서비스의 질이고, 선택은 국민이 해야 할 일인 만큼 협회나 네트워크병원 모두 흠집내기 보다는 새로운 대안을 찾는 데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정희 서울시의원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관악구 전역 주민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구 제4선거구)은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관악구 여러 동에서 열린 ‘동별 주민총회’에 연이어 참석하여 주민들과 직접 소통하고, 각 동에서 제안된 마을 의제와 지역 현안을 폭넓게 살폈다. 유 의원은 난곡동, 낙성대동, 남현동, 대학동, 성현동, 서림동, 서원동, 삼성동, 인헌동, 청림동(가나다순) 등 관악구 전역에서 개최된 주민총회에 참여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들이 마을 문제를 스스로 제안하고 논의하며 해결 방향을 결정하는 자리로, 지역의 실질적인 의사결정 구조가 작동하는 대표적인 참여형 자치 방식이다. 유 의원은 주민총회를 통해 “주민이 직접 의제를 만들고, 그 의제를 토론과 숙의를 거쳐 결정하는 과정이 곧 자치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행정이 주민에게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주민이 직접 마을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점점 더 자리 잡고 있다”며 주민총회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민총회 현장에서는 동마다 다양한 마을 의제가 제안되고, 주민 사이의 토론과 의견 수렴이 이어졌다. 일부 동에서는 주민들이 준비한 공연이 더해져 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함께 나누는 시간이 마련되기도 했다. 유 의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관악구 전역 주민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