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육우협 “원유ℓ당 173원 안올리면 3일 공급중단”
구제역 후폭풍 등으로 우유 생산이 충분치 못한 가운데 1일 한국낙농육우협회가 원유 가격 인상을 요구하며 우유 공급을 일시 중단하기로 함에 따라 또 한번 우유 대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낙농농가 모임인 한국낙농육우협회는 1ℓ에 704원인 원유 가격을 173원 올려달라고 요구하며 3일 하루 우유업체에 원유 5200t을 공급하지 않는 집유 거부 투쟁을 벌이기로 한 상태다. 또 5일까지 인상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무기한 원유 납품을 거부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협회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사료값이 20~30% 올랐다며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원유 가격 인상은 소매가 인상으로 이어질 게 뻔해 정부가 난색을 표명하자 집단행동이란 카드를 빼든 것이다.
유제품 가공업계는 모든 낙농가가 협회 지침을 따를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공급 거부가 확산되면 제품 생산에 상당한 차질이 있으니 일단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낙농농가들이 단체행동에 얼마나 참여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조합원에게 납유 거부를 하지 말아 달라고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매일유업 측은 “낙농업계에 공급 거부에 동참하는 분위기가 상당히 형성돼 있는 것 같다.”며 “3일 하루만 거부하면 생산량을 조절해야겠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문제가 심각하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남양유업은 필요한 원유의 90% 정도를 자사와 장기간 단독 거래를 하는 낙농가로부터 공급받고 있어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원유 가격 협상이 전체 낙농가의 이해와 맞닿은 사안인 만큼 거부 규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3일 이전에 어떻게든 타협점이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가공 업계에서는 원유가 인상안을 최근 81원까지 상향 조정해 제시했었다.”면서 “100원 남짓한 수준에서 (가격 인상분이)결정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구제역 때문에 젖소 사육 마릿수가 감소한 데다 폭염과 장마 등 날씨 변화로 젖소가 스트레스를 받아 전반적으로 우유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데다 공급 거부까지 겹치면 우유 품귀 현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방학이라 급식 수요가 적어 공급 부족이 일시 해소됐지만 생산지에서 공급이 끊기면 연쇄적으로 유통점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업계에서는 원유 가격 협상 결과에 따라 우유 공급난이 해소되는 시점을 점치는 시각이 다르지만, 근본적인 우유 부족 현상을 없애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박상숙·황비웅기자 alex@seoul.co.kr
2011-08-0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