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먼데이] 국제뉴스 중심에 선 S&P

[블랙먼데이] 국제뉴스 중심에 선 S&P

입력 2011-08-09 00:00
수정 2011-08-09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미디어그룹 맥그로힐 소유 “결과 책임질 필요 없다” 강변

전 세계 신용평가 시장의 40%를 차지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007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이후 다시 국제 뉴스의 중심을 차지했다. 2007년에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원인 제공자라는 비판에 직면하며 몸을 바짝 엎드렸다. 하지만 지난 5일(현지시간) S&P는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낮추면서 전 세계에 ‘무력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르면 오는 11월쯤 미국의 신용등급을 또 한 차례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1860년 설립돼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S&P는 무디스, 피치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 불린다. 연간 순이익만 8억 달러나 되고 종업원 1만명에 18개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1966년부터 비즈니스위크와 여러 방송사를 소유한 미국 미디어그룹 맥그로힐이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S&P는 언론·출판의 자유를 명시한 미 수정헌법 제1조에 따라 자신들은 신용평가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고 강변해 왔다.

한국은행 워싱턴사무소의 차현진 소장은 “S&P가 신평사들 사이에서 가장 호전적 태도를 보였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미국 의회 등에서 신용평가사들에 대한 규제 움직임을 보일 때도 S&P는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했다.”고 지적했다.

S&P가 막강한 위세를 떨치고는 있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영향력을 누릴지는 미지수다. 미 상원과 하원이 이들에 대한 규제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상원 보고서는 신용평가사들이 2006, 2007년 최우량 등급 판정을 내린 서브프라임 모기지 중 90% 이상이 정크본드(투자 위험성이 높은 채권)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2011-08-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