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미디어그룹 맥그로힐 소유 “결과 책임질 필요 없다” 강변
전 세계 신용평가 시장의 40%를 차지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007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이후 다시 국제 뉴스의 중심을 차지했다. 2007년에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원인 제공자라는 비판에 직면하며 몸을 바짝 엎드렸다. 하지만 지난 5일(현지시간) S&P는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낮추면서 전 세계에 ‘무력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르면 오는 11월쯤 미국의 신용등급을 또 한 차례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1860년 설립돼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S&P는 무디스, 피치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 불린다. 연간 순이익만 8억 달러나 되고 종업원 1만명에 18개국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1966년부터 비즈니스위크와 여러 방송사를 소유한 미국 미디어그룹 맥그로힐이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S&P는 언론·출판의 자유를 명시한 미 수정헌법 제1조에 따라 자신들은 신용평가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고 강변해 왔다.
한국은행 워싱턴사무소의 차현진 소장은 “S&P가 신평사들 사이에서 가장 호전적 태도를 보였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미국 의회 등에서 신용평가사들에 대한 규제 움직임을 보일 때도 S&P는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했다.”고 지적했다.
S&P가 막강한 위세를 떨치고는 있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영향력을 누릴지는 미지수다. 미 상원과 하원이 이들에 대한 규제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상원 보고서는 신용평가사들이 2006, 2007년 최우량 등급 판정을 내린 서브프라임 모기지 중 90% 이상이 정크본드(투자 위험성이 높은 채권)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8-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