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과반이 기업인ㆍ교수…60대 41.9%

사외이사 과반이 기업인ㆍ교수…60대 41.9%

입력 2011-09-12 00:00
수정 2011-09-12 1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원랜드 10명으로 최다

상장기업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기업인과 교수들로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자본시장연구원이 금융감독원의 용역 의뢰를 받아 작년 3월 말 현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 1천591곳의 사외이사 3천103명(중복선임 제외 시 2천935명)을 조사한 결과 기업인이 가장 많은 1천65명으로 전체의 34.3%에 달했다.

이어 교수 694명(22.4%), 변호사 334명(10.8%), 전직 공무원 217명(7.0%), 기관ㆍ협회ㆍ단체 197명(6.3%), 회계사ㆍ세무사 169명(5.4%), 연구원 65명(2.1%), 언론인 57명(1.8%), 기타 306명(9.9%) 등이었다.

사외이사 평균 연령은 56.7세로 유가증권시장이 59.3세, 코스닥시장이 53.6세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60대는 전체의 41.9%인 714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598명, 40대 185명, 70대 164명, 30대 33명, 20대 2명, 80대 이상 9명 등이었다.

사외이사의 절반가량인 1천541명이 대학원 이상 학력자였고, 전공 분야는 경상계열 1천108명(36.5%), 이공계열(15.2%), 법정계열(12.8%) 등이었다.

회사당 사외이사의 수는 1.95명으로 2003년(1.84명) 이후 큰 변화가 없다. 유가증권시장이 2.38명, 코스닥시장이 1.60명이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금융업이 사외외사가 회사당 평균 4.09명이었고 비제조업 2.54명, 제조업 2.10명이다.

전체 상장사 중 사외이사를 1명만 둔 회사는 721곳으로 45.3%에 달했다. 2명 33.5%, 3명 11.3%, 4명 4.9%, 5명 이상 5.0%였다.

최다 사외이사 선임회사는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강원랜드(10명), 코스닥시장에서는 테라젠(6명)이었다.

사외이사 임기는 3년이 79.3%(2천463명)로 가장 많고 2년(14.3%), 1년(6.3%) 순이었다. 169명은 회사 2곳의 사외이사를 겸직했다.

외국인 사외이사는 75명으로 전체의 2.4% 수준이었다. 유가증권시장 51명, 코스닥시장 24명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