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사이버범죄 피해자 1초에 14명씩 발생”

“전세계 사이버범죄 피해자 1초에 14명씩 발생”

입력 2011-09-14 00:00
수정 2011-09-14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만텍 ‘2011 노턴 사이버 범죄 보고서’ 발표

지난해 사이버 범죄 피해자가 4억3천만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시만텍이 발표한 ‘2011 노턴 사이버 범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사이버 범죄로 인한 전 세계 피해자 수는 성인 기준으로 4억3천1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초마다 14명, 매일 100만명 이상이 사이버 범죄의 피해자가 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보고서는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일본 등 전 세계 주요 24개국 1만9천63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는 금전적 피해는 1천140억달러(한화 약 122조원)에 이르며 여기에 시간적 손실까지 금액으로 환산해 더하면 3천880억달러(한화 약 417조원)에 육박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 세계 암시장에서 거래되는 마리화나, 코카인, 헤로인 규모를 합친 2천880억달러보다 훨씬 크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는 성인의 10%가 모바일 사이버 범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보안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사이버 범죄 피해자 가운데서도 18~31세 남성의 피해 확률이 가장 높았다. 이 연령층에 속하는 남성 5명 중 4명(80%)이 사이버 범죄를 경험했다.

가장 흔한 사이버 범죄 유형은 컴퓨터 바이러스와 멀웨어(54%)였으며 온라인 사기(11%), 피싱 메시지(10%)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편 응답자의 74%가 ‘항상 사이버 범죄를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41%는 온라인상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최신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았다고 답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인식과 실제 행동과는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용카드 사용 시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하는 등 비밀번호 관리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61%나 됐다.

시만텍 관계자는 “지난해 사이버 범죄로 피해를 본 성인이 일반 범죄 피해자보다 3배나 더 많았지만, 향후 1년 동안 일반 범죄보다 사이버 범죄로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3분의 1도 되지 않아 사람들이 사이버 범죄 위협을 바라보는 시각에 심각한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