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착한가격’ 주유소가 뜬다

가을에 ‘착한가격’ 주유소가 뜬다

입력 2011-09-15 00:00
수정 2011-09-15 09: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가폴주유소연합회 창설… 공동 기름구매·브랜드 활용

기름값 고공행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자가폴(POLL) 주유소들의 연합체가 최근 결성돼 이르면 내달 중 공동 상표를 내걸고 영업을 시작할 전망이다.

자가폴 주유소는 SK에너지,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 등 4대 브랜드 정유회사의 석유제품을 자유롭게 구매해 독자적인 상표를 내걸고 기름을 판매하는 주유소다.

15일 주유소 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 자가폴 주유소 업계가 ‘자가폴주유소협의회’를 창립하고 공동 상표 제작 등을 준비하고 있다.

초대 회장으로는 한국주유소협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대구 논공공단주유소의 함재덕 사장이 뽑혔다.

이들은 단체로 석유제품을 구매하고서 공동 브랜드를 내걸고 영업하며 기존 브랜드 폴 주유소와 경쟁할 예정이다.

또 신용카드 주유 할인 서비스를 하기 위한 준비도 하고 있다. 브랜드 주유소들은 카드 결제 시 40∼100원을 할인이나 적립해주고 있어 자가폴 연합 주유소도 카드사 제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함 사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국내 주유소 시장은 경쟁 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4대 정유사들이 가격을 좌지우지해 왔다”며 “자가폴 주유소의 연합체가 공동 상표를 만들어 저렴한 가격으로 기름을 팔면 물가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일 창립해 추석 연휴를 보내느라 준비를 잘 못했지만 조만간 협의체 주유소 로고를 만들고 공동 마케팅 방안도 마련해 가을에는 공동 폴 영업을 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현재 전국에 농협폴을 제외한 자가폴 주유소는 340여개가 있으며, 협의회에는 300개 이상 주유소가 가입할 것으로 함 사장은 전망했다.

함 사장은 “관건은 안정적인 기름 공급선 확보”라고 강조하고 “정부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으며 정부가 추진하는 ‘알뜰 주유소’의 역할을 해 내겠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자가폴 주유소의 품질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석유관리원이 수행하는 ‘석유품질 인증 프로그램’ 연간 참여비 120만원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그램은 석유관리원이 주유소의 기름 품질을 정기 검사하고 그 결과를 품질보증 마크로 홍보해 주는 것이다.

그동안 자가폴 주유소는 기름값이 싸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기업 상표를 쓰지 않아 품질에 대한 불안감이 약점으로 꼽혀 왔다.

석유가격 정보제공 사이트인 오피넷에 따르면 14일 기준으로 자가폴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ℓ당 가격은 1천911.93원으로 전국 평균(1천943.22원)보다 31원 이상 저렴하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