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 가계 양극화 더 벌어졌다

기업 - 가계 양극화 더 벌어졌다

입력 2011-09-30 00:00
수정 2011-09-30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기업소득 증가율 18.3% 가계는 7.3%… 2배이상 격차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의 소득 증가율이 가계소득 증가율을 2배 이상 웃돌면서 가계와 기업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소득 규모는 280조 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8.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가계소득 규모는 727조 2000억원으로 7.3%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기업소득이 가계소득보다 2배 이상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기업소득 증가율은 2000년대 초반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가계소득 증가율을 상회했으나, 2000년대 중반 들어 역전됐다. 2006년에는 가계소득 증가율(5.3%)이 기업소득 증가율(2.1%)을 앞질렀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소득 증가율은 다시 급등했고, 2008년 10.3%를 기록해 가계소득 증가율(4.4%)을 2배 이상 웃돌았다.

특히 2009년에는 기업소득 증가율이 9.0%로 가계소득 증가율(2.9%)의 3배를 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기업과 가계소득 증가율이 모두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가계가 받은 충격이 더 컸던 것이다.

국민총소득(GNI)에서 기업과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GNI 대비 기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20.2%에서 2010년 23.9%로 꾸준히 늘어난 반면, 가계소득 비중은 같은 기간 64.6%에서 62.0%로 줄어들었다.

가계소득이 기업소득에 비해 부진한 증가율을 보이는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이 수출을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가계소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금이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약했던 것도 한 원인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1-09-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