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산부인과 김태희 교수는 최근 수도권 직장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월경전증후군’ 유병률이 74%(126명)에 달했다고 6일 밝혔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월경전증후군은 황체기(배란 후 월경 직전까지의 기간)에 국한돼 나타나는 게 특징으로, 증상은 초조·우울 등의 정신적 장애에서부터 변비, 두통, 더부룩함, 체중증가, 유방압통, 근육통, 집중력저하, 식욕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직장 여성들은 월경전증후군의 대표적 증상으로 더부룩함(72.4%)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분노나 짜증(61.8%), 체중 증가(59.8%), 불면증(51.2%), 집중력 저하(48.2%), 졸림(34.1%), 구토나 어지러움(29.4%)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처럼 직장 여성들의 월경전증후군 유병률이 높은 것은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하면서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게 김 교수의 분석이다.
하지만 응답자 중 월경증후군을 치료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진 여성은 5.9%(10명)에 그쳤다.
월경전증후군은 배 주위를 따뜻하게 해주면서, 심할때는 진통제나 소염제 같은 약을 복용하는 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치료법이나 예방법이 명확하지는 않다.
김 교수는 “직장여성들의 월경전증후군은 직장이나 가정생활에 큰 장애를 가져 올 수 있다”면서 “무엇보다 월경전증후군을 질환으로 인식하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형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