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 급식 덕에… 물가 상승 2%대

무상 급식 덕에… 물가 상승 2%대

입력 2012-04-03 00:00
수정 2012-04-03 1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개월 만에 2%대로… 유가·농산물 압박 체감경기 꽁꽁

정부가 확대 실시한 무상보육과 무상급식 정책이 지난달 물가 상승률을 2%대로 떨어뜨린 일등 공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2월보다 0.1% 하락했고,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2.6% 상승했다.

2010년 8월 이후 19개월 만에 물가가 2%대로 떨어진 것이다.

지출 항목별로는 지난달 보육시설 이용료가 지난 2월에 비해 33.9%나 떨어졌고, 학교급식비는 14.5%, 유치원 납입금이 11.1% 하락한 것이 가장 눈에 띈다.

정부에서 0~2세 무상보육지원, 만5세 누리과정 도입 등으로 보육료 지원을 크게 늘렸고, 유치원비가 동결된데다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학교가 확대되면서 물가 하락을 주도한 것이다.

통계청 안형준 물가동향 과장은 “정부의 보육료 지원이 물가를 0.33%p 하락시켰고, 유치원 납입금 지원이 0.07%p, 무상급식이 0.08%p 물가하락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보육료 지원과 유치원 납입금 지원, 무상급식 등 ‘복지 3종 세트’가 물가를 0.48%p 하락시켰다는 얘기다.

반대로 무상보육이나 무상급식 효과가 없었다면,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3.1%로 지난 2월과 동일했다는 말이 된다.

실제로 기름값이 지난 1월 6일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오르면서 지난달 유가가 전월대비 2.1%p 상승했고, 농산물 가격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무려 9.4%나 오르는 등 물가 압박 요인이 여전했다.

전세와 월세도 전년 동월 대비 5.7%와 3.1%씩 올라 여전히 강세를 보였고, 서울시가 대중교통 요금을 인상한 것도 물가에 상당한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국 지난달에도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지만, 그나마 무상보육과 무상급식이 물가 부담을 조금은 덜어준 것으로 해석된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