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나가사키현 “韓 나가사키짬뽕 상표등록은 곤란”

日나가사키현 “韓 나가사키짬뽕 상표등록은 곤란”

입력 2012-06-19 00:00
수정 2012-06-19 17: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에서 ‘나가사키짬뽕’이라는 한국어 상표 등록이 신청됐다는 소식에 일본 나가사키(長崎)현이 난감해하고 있다.

나가사키현은 19일 한국 특허청에 ‘나가사키짬뽕’ 상표 등록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가사키현 산업진흥과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한국의 한 개인이 지난해 11월 한국 특허청에 상표 등록을 신청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특허청이 9월에 심사를 시작하기 전에 외부 의견을 접수할 때 나가사키현의 의견을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07년에도 한국의 다른 개인이 한국어 상표 등록을 신청했지만 각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때는 누군가 상표등록을 신청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지만 이번에는 지난 3월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로부터 정보를 입수했다”고 설명했다.

이 문제는 18일 나가사키현 지방의회에서 한 의원이 현측에 대책을 물을 만큼 지역에서 논란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가사키현은 삼양식품 등이 ‘나가사키짬뽕’이라는 상표를 사용하는 것 자체는 반대하지 않고 있다.

산업진흥과 관계자는 “삼양식품 관계자는 미리 나가사키현 지사를 찾아와 제품 출시 계획을 설명했고, 현도 나가사키현의 선전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누군가가 한국에서 상표를 등록해서 ‘나가사키짬뽕’이라는 이름을 독점해버리면 거꾸로 우리는 한국에서 이 이름을 쓸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나가사키짬뽕’이라는 이름이 정작 상표로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나가사키현 관계자는 “지역의 한 단체가 몇년전에 상표 등록을 신청했지만 ‘이미 일본내 여러 지역에서 나가사키짬뽕을 만들고 있으니 한 지역이 독점해선 안된다’는 이유로 거부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