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두 커피믹스 ‘3파전’

원두 커피믹스 ‘3파전’

입력 2012-07-01 00:00
수정 2012-07-01 1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서식품·롯데칠성 이어 남양유업 가세

원두 커피믹스 시장에 ‘3파전’이 전개될 조짐이다.

커피 전문점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커피 소비 트렌드가 원두 중심으로 고급화하면서 인스턴트 제품도 ‘달달한’ 전통의 맛에서 진한 원두의 맛으로 변모하는 양상이다.

◇동서식품·롯데칠성·남양유업 “한 번 붙자” = 커피믹스 시장의 ‘최강자’인 동서식품이 작년 11월 기존 인스턴트 커피에 원두를 미세하게 갈아 넣은 제품을 출시한 뒤 롯데칠성이 지난달 유사한 제품을 내놨고 남양유업도 원두 커피믹스 제품을 출시했다.

남양은 이미 ‘루카’라는 이름을 가진 제품을 일부 대형마트에 시판용으로 들여놓고 조만간 본격적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루카는 콜롬비아와 과테말라의 최고급 원두를 사용, 영하 196도의 극저온에서 미세하게 갈았고 신선함을 살리기 위해 질소 충전을 하는 등의 장점을 내세운다.

원두커피의 진한 향을 위한 100% 아로마 추출 방식을 택했다.

남양은 2010년 12월 ‘화학적 첨가물인 카제인나트륨을 뺐다’는 점을 화두로 내세우면서 커피믹스 시장에 진출, ‘프렌치카페 카페믹스’라는 제품으로 2년도 안 돼 시장 점유율 2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치고 올라왔다.

남양은 원두커피의 수요가 늘자 일찌감치 루카 개발에 착수했다.

동서식품의 원두 커피믹스 제품인 ‘카누’는 국내에서 자신만이 보유한 알갱이 형태의 동결건조(Freeze Dried) 방식을 자신 있게 내세우고 있다.

카누는 고품질의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구현해내기 위해 기존 방식인 가루형태의 분무건조(Spray Dried) 방식을 쓰지 않았다.

원가 부담이 높지만 맛과 향을 위한 선택이라고 설명한다.

일반 커피믹스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심도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극저온에서 미세하게 분쇄하는 방법은 루카와 유사하다.

롯데칠성음료도 지난 6월 ‘칸타타 스틱커피’라는 이름으로 원두 커피믹스 제품을 내놨다.

원두를 분쇄한 가루에 무지방 우유 크림을 넣었다.

롯데칠성은 2010년 7월 일반 커피믹스 시장에 처음 발을 들여놨지만 이렇다 할 재미를 보지 못했다.

◇원두 커피믹스 시장 점점 커지나 = 1조2천억 안팎인 국내 커피믹스 시장에서 원두 커피믹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500억원대로 아직 5%가 채 안 된다.

그러나 수요가 이어지면서 2년 내에 20% 안팎까지 성장할 것으로 일부 업체는 예상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커피 전문점이 급성장하면서 원두커피의 수요가 확산한 점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커피 전문점 시장은 2011년 2조4천억원에서 올해 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체들은 원두 커피믹스가 커피 전문점에서 마시는 ‘아메리카노’ 등 원두커피와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맛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간편하면서 고급 원두커피의 맛을 본다는 점에서 향후 시장성이 크다고 업계의 한 관계자는 나름대로 분석했다.

이러한 제품들이 고급 원두커피의 맛을 낸다고 해도 인스턴트 제품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일반 커피믹스와 가격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소비자들의 저항을 다소 받을 수 있는 대목이다.

3개사의 원두 커피믹스 제품은 10개들이에 3천원대로 일반 커피믹스의 3배 안팎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최근 동서식품의 카누 제품의 원가를 분석해 가격을 개당 3.6%(11원) 인하해야 한다고 권고하기도 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맛과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선택이 향후 원두 커피믹스 시장의 향배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