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홀딩스 법정관리 개시…향후 절차는

웅진홀딩스 법정관리 개시…향후 절차는

입력 2012-10-11 00:00
수정 2012-10-11 1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법원이 11일 웅진홀딩스의 법정관리 개시 결정을 내림에 따라 앞으로 진행 절차에 관심이 쏠린다.

법원은 회생절차가 시작되면 개시 결정과 동시에 관리위원회와 채권자협의회의 의견을 들어 관리인을 선임한다. 관리인은 법원의 감독을 받는다.

서울중앙지법은 이날 별도로 웅진홀딩스의 관리인을 선임하지 않았으나 통합도산법 제74조에 따라 기존 대표이사인 신광수를 관리인으로 보게 된다고 밝혔다.

그동안 채권단은 웅진 측 인사를 제외한 제3의 관리인을 선임해 달라고 요구해왔다.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등 웅진 측 임원은 웅진홀딩스가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한 책임이 있어 회생절차 수행을 맡길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법원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채무자의 대표자를 관리인으로 선임하도록 한 관리인 유지(DIP·Debtor In Possession) 제도에 따라 관리인 불선임을 결정했다.

통합도산법에는 채무자 회사의 재정적 파탄의 원인이 기존 경영진의 재산 유용이나 은닉, 중대한 책임이 있는 부실경영에 기인한 때 등의 사유가 없는 한 기존 경영자 관리인 제도를 원칙으로 정하고 있다.

법원은 그러나 향후 기존 경영자의 횡령 등의 행위가 확인되거나 공정하게 회생 절차를 진행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제3자 관리인을 선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법원은 회생 절차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채권단협의회가 최고구조조정책임자(CRO, Chief Restructuring Officer)의 권한 강화, 윤 회장의 경영 관여금지, 웅진코웨이 매각 문제의 신속 처리 등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관리인 개인에 의존하는 회생 절차가 아니라 채권자협의회의 감독 시스템에 의한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법원은 전했다.

법원은 관리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조사위원도 선임하게 된다.

통상 회계법인이 맡는 조사위원은 기업 실사를 통해 재산가액 등을 평가하고 웅진홀딩스가 회생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적정한지에 대한 보고서를 법원에 제출한다.

이 보고서에는 웅진홀딩스의 청산 가치와 존속 가치의 평가, 법정관리 신청 원인, 대주주의 중대 책임 사유 등의 내용이 담기게 된다.

법정관리가 시작돼도 만일 조사위원이 웅진홀딩스의 회생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판단하면 회생절차가 중단될 수도 있다.

관리인은 이후 조사위원의 보고서를 토대로 회생계획안을 작성한다.

회생계획안에는 통상 채무 변제 방법 등이 포함되는데 웅진홀딩스의 경우 웅진코웨이의 조기 매각 계획도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관건은 지주사인 웅진홀딩스가 지난달 법정관리를 신청하기 직전 웅진코웨이 매각 상대였던 MBK파트너스가 그대로 인수하느냐다.

MBK파트너스는 최근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법정관리 신청 전에 맺은 인수 계약이 아직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웅진코웨이 인수를 위한 대금 1조2천억 원은 이미 지난달에 마련했다. 웅진코웨이 인수를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법원은 이 회생계획안에 법률적 결함이 없다고 판단하면 채권자 등 관계인집회를 소집해 이 안을 심리한다.

관계인집회에서 회생계획안을 가결하고 법원이 회생계획을 인가하면 관리인은 계획안에 따라 회생계획을 수행해야 한다.

이후 자력으로 경영할 수 있다고 법원이 판단하면 웅진홀딩스는 법정관리를 졸업하게 된다.

법원은 우선 웅진홀딩스의 법정관리와 관련 패스트 트랙(Fast Track·회생절차 조기 종결 제도) 방식을 적용해 신속하게 사건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회생절차가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웅진홀딩스는 이르면 내년 초에 법정관리를 졸업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회생계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향후 이행 가능성도 작다고 판단되면 법원은 직권으로 웅진홀딩스에 파산 선고를 내릴 수도 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