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값이 묘하다

커피값이 묘하다

입력 2013-01-28 00:00
수정 2013-01-28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두값 13% 떨어졌는데 커피값 5% 가까이 올려

국민 한 명이 한 해 338잔이나 마시는 ‘검은 유혹’ 커피. 지난해 원·달러 환율과 국제 거래 가격이 떨어지면서 국내 원두 수입 가격은 전년보다 13% 가까이 하락했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5% 가까이 오른 가격에 커피를 마셔야 했다. 환율 하락분이 소비자가격에는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27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커피의 수입물가지수(2010년 100 기준)는 원화 기준으로 117.0이었다. 전년(134.4)보다 12.9% 떨어졌다. 2011년에는 100만원을 주고 커피 원두를 수입했다면 작년에는 87만원으로 하락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인스턴트 커피의 소비자물가지수(2010년 100 기준)는 같은 기간 105.6에서 110.2로 되레 4.4% 올랐다. 커피 전문점이나 다방 등에서 파는 외식 커피의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102.4에서 104.9로 2.4% 상승했다. 수입물가 증감률과 소비자물가 증감률 간의 격차가 인스턴트 커피는 17.3% 포인트, 외식 커피는 15.1% 포인트나 됐다. 국내 인스턴트 커피 시장의 79.6%(지난해 기준)를 점유하고 있는 동서식품은 2011년 4월 커피믹스 등의 가격을 최고 9.9% 올렸다. 이유는 ‘커피 원두 시세 급등’이었다.

지난해에는 국제 커피 원두 가격이 파운드당 1.56달러로 전년 대비 32.6%나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 역시 지난해 말 달러당 1070.6원으로 1년 전보다 81.2원(7.6%) 하락했다. 하지만 커피믹스 가격은 요지부동이다. 커피업계 관계자는 “커피 제조 원가에서 원두가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해서 커피값을 인하하기가 쉽지 않다”고 해명했다.

스타벅스 등 커피 전문점 브랜드들도 수입 가격이 하락했던 지난해 소비자가격을 올렸다. 스타벅스(6월)를 필두로 커피빈(7월), 투썸플레이스(8월), 할리스 커피(9월), 엔제리너스 커피(10월) 등이 아메리카노 가격(작은 사이즈 기준)을 300원씩 인상했다. 아메리카노 한 잔 값이 4000원을 넘어선 곳도 있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우리나라는 시장이 작다 보니 독과점이 잘 발생하고 그 결과 일부 업체들이 환율 하락에 모르쇠로 일관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소비자단체들과 함께 시장 경쟁적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3-01-2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