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90명이 뽑은 ‘국내금융 5대 리스크’

전문가 90명이 뽑은 ‘국내금융 5대 리스크’

입력 2013-02-19 00:00
수정 2013-02-19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① 가계 부채 ② 환율 갈등 ③ 집값 하락 ④ 기업신용 위험 ⑤ 유로지역 위기

선진국들의 돈 풀기 정책으로 불거진 환율 갈등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리스크)으로 지목됐다. 한국은행은 18일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실시한 시스템적 리스크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외환위기 때처럼 환율, 주가 등 각종 변수가 요동치며 실물경제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치는 경우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5대 핵심 리스크(리스크를 5개씩 꼽은 뒤 합계를 응답자 수로 나눠 계산)로 가계 부채(82.2%), 환율 갈등(57.8%), 집값 하락(56.7%), 기업신용위험 증가(53.3%), 유로지역 위기(52.2%)를 지목했다. 지난해 7월 조사 때 5대 리스크에 들지 않았던 환율 갈등과 기업신용 위험 증가가 포함됐다. 원화가치 상승과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이다. 또 두 가지를 1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는 단기 리스크로 인식했다. 가계부채를 걱정하는 응답 비중(89.2%→82.2%)이 여전히 높았지만 유로지역 위기 걱정은 크게 약화(91.9%→52.2%)됐다. 중국경제 경착륙과 미국 경기회복 지연은 5대 리스크에서 빠졌다. 두 나라의 경기상황이 최근 완만하게나마 나아지면서 일단 한 고비를 넘긴 것으로 진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02-1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