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가격 외국보다 최대 64% 비싸

콘택트렌즈 가격 외국보다 최대 64% 비싸

입력 2013-03-06 00:00
수정 2013-03-06 1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FTA 발효에도 안 내려…안경점별 판매가격도 동일

국내 시장을 장악한 외국산 콘택트렌즈의 가격이 외국보다 최대 64%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더구나 한ㆍ미,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관세가 낮아졌음에도 콘택트렌즈 가격은 내려가지 않거나 되레 상승했다.

한국소비자연맹은 6일 국내 안경점 157곳과 미국, 일본, 중국, 대만, 호주, 홍콩, 영국 등 7개 국가의 콘택트렌즈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 시장의 87%를 차지한 존슨앤드존슨, 시바비젼, 쿠퍼비젼, 바슈롬 등 4대 외국 메이저 제조업체 제품이다.

콘택트렌즈는 도매상 등 중간 유통과정이 없어 제조업체가 판매가격을 관리하기 쉽다.

조사 결과 대다수 제품의 국내 판매가격이 국외보다 비쌌다.

가격 차이가 가장 큰 제품은 에어 옵틱스 아쿠아(시바비젼)였다. 국내 평균 가격이 5만8천214원으로 국외 가격(3만5천402원)의 1.64배에 달했다.

아큐브 모이스트(존슨앤드존슨), 포커스 데일리즈(시바비젼), 아큐브 트루아이(존슨앤드존슨), 소프렌즈 데일리(바슈롬) 등도 국내 가격이 외국보다 11%~34% 비쌌다.

소비자연맹은 콘택트렌즈 국내 가격이 국외보다 비싼 것은 소수 외국업체 위주의 독과점적 유통구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존슨앤드존슨의 아큐브 트루아이 제품은 전체 132개 안경점 중 98%인 129곳의 판매가격이 4만5천원으로 동일했다.

아큐브 모이스트, 아큐브 어드밴스, 아큐브2 인핸서즈 등의 제품도 90% 이상의 안경점에서 같은 가격으로 판매했다.

일본은 안경 판매점들이 동일한 콘택트렌즈 판매가격을 책정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대만은 판매가격이 같은 안경점이 40% 수준에 불과하다.

한ㆍ미, 한ㆍEU FTA 등으로 인한 가격인하 효과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2011년과 2012년 가격 비교가 가능한 제품 중 소프렌즈 데일리의 가격은 996원에서 1천192원으로 20% 상승했다. 아큐브 트루아이도 1천490원에서 1천496원으로 미미하게나마 올랐다.

한ㆍ미 FTA 발효로 미국산 제품의 관세는 8%에서 5.3%로 인하됐다. 한ㆍEU FTA로 말미암은 관세 인하 효과도 4%포인트(8%→4%)에 달한다.

소비자연맹은 “유명인을 이용한 광고 등에 막대한 비용을 들이기보다는 실제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 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안경점 간 가격 경쟁을 활성화하고, 콘택트렌즈 판매 때 제조연월일, 제조사명, 유효기간 등 제품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이번 조사 결과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에서 볼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