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무역 8강 코리아] SK텔레콤

[세계 무역 8강 코리아] SK텔레콤

입력 2013-03-30 00:00
수정 2013-03-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세대 기술 LTE-A 망 구축 박차

이미지 확대
SK텔레콤 직원들이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 대역을 2배로 확대한 멀티캐리어(MC) 망 구축 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 직원들이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 대역을 2배로 확대한 멀티캐리어(MC) 망 구축 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롱텀에볼루션(LTE) 네트워크 기술과 최다 가입자 수를 앞세워 LTE 시대를 이끌고 있다.

현재 SK텔레콤 LTE 가입자 수는 930만여명. 2011년 LTE 서비스 상용화를 시작한 지 2년도 안돼 빠른 속도로 가입자를 확보했다. SK텔레콤은 LTE 가입자 성장세 비결로 ▲세계 최고 LTE 품질 조기 확보 ▲LTE 특화 서비스·콘텐츠로 차별화 ▲고객 취향에 맞춘 다양한 단말기 출시 등을 꼽는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차세대 LTE 기술인 LTE 어드밴스드(LTE-A) 망 구축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LTE-A 핵심기술인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오는 9월 상용화할 계획이다. CA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두 배로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800㎒ 대역의 데이터 전송 속도 75Mbps와 1.8㎓ 대역의 데이터 전송 속도 75Mbps를 더한 최대 150Mbps 속도를 구현한다. 이 기술을 적용할 경우 데이터 용량 1.4GB의 영화 1편을 현재보다 2배가량 빠른 약 75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다.

SK텔레콤은 앞서 어드밴스드-스캔, LTE 펨토셀, 멀티캐리어 등 LTE 기술을 상용화했다.

지난해 1월 기존 망 대비 속도와 용량을 높이는 ‘어드밴스드 스캔’ 기술을 선보였다. 어드밴스드 스캔은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기지국 간 경계 지역에서 신호 간섭을 제어해 통화 품질을 기존 대비 4배 이상 높이는 기술이다. 같은 해 6월 상용화한 LTE 펨토셀은 전파가 닿기 어려운 실내·지하 등의 음영지역에도 안정적인 LTE 통화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1.8㎓ 대역을 추가로 사용해 LTE 주파수 대역을 2배로 확대한 멀티캐리어(MC) LTE 서비스도 지난해 7월 내놨다.

SK텔레콤은 “전국 158개 대학가에 멀티캐리어 망 구축을 완료했다”며 “상반기 중 전국 시 단위 주요 지역에 멀티캐리어 구축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멀티캐리어 확대 구축으로 LTE-A망 구축에서도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LTE 네트워크 기술뿐만 아니라 마케팅 차별화에도 적극적이다. SK텔레콤은 최근 가입자끼리 무료로 통화할 수 있고 이동통신사와 상관없이 문자메시지를 공짜로 보낼 수 있는 ‘T끼리 요금제’를 출시했다.

SK텔레콤은 “T끼리 요금제는 경쟁사와 차별화될 수 있는 서비스 상품”이라며 “소모적인 보조금 경쟁에서 탈피해 상품과 서비스 경쟁 구도를 정착시키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신규 멤버십 출시 ▲T만의 색다른 전용 스마트폰 등 단말 차별화 ▲착한 기변 프로그램 강화 ▲고객 안심 서비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3-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