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해진 식탁

부실해진 식탁

입력 2013-04-11 00:00
수정 2013-04-11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과일·생선 등 줄이고 가공식품 소비 늘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정 식탁에 오르는 음식의 질이 급격하게 나빠진 것으로 분석됐다. 과일·생선 등 신선식품 소비는 줄고, 햄·베이컨·과자 등 가공식품 소비는 늘었다. 결국 식품 가공회사만 돈을 벌었다.

통계청은 10일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실질 가계수지 분석 결과 지난해 식료품·비주류음료 구입비가 가구당 월 평균 31만 668원으로 2008년 34만 1472원보다 9.0% 줄었다고 밝혔다. 어패류 등 신선수산동물 소비가 30.9%, 과일 및 과일가공품 소비가 17.1%씩 줄었다. 육류 소비는 3.7%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당류 및 과자 소비가 13.5%, 육류 가공품 소비가 31.6%씩 늘어났다.

신선식품 소비가 줄어든 이유는 빠듯한 살림에 먹거리 비용을 우선 줄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2008년 358만 7209원이던 가구당 월 평균 실질소득이 지난해 383만 5255원으로 6.9% 증가했지만, 농·축·수산물 물가상승률은 31.9%로 소득 증가율을 압도했다. 품목별로 과일 48.2%, 채소 45.2%, 수산물 38.3%, 축산물이 12.4% 올랐다.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21.3%로 축산물을 제외한 다른 품목에 비해서는 낮았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가계가 비싼 쌀 대신 라면을 사는 식으로 먹거리 소비의 중심을 정상재에서 열등재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코스피 지수 중 음식료품 지수는 2008년 10월 말 1500대 초반에서 최근 4100선까지 성장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4-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