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치료법 개발 목적 네트워크 구축·등록사업 시작
신호경 = 국립보건연구원과 대한신생아학회는 태어날 당시 체중이 1.5㎏미만인 이른바 ‘극소 저체중아’를 등록시켜 생후 3년동안 추적·조사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이 연구사업은 극소 저체중아 네크워크 구축을 통해 자료를 축적해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신생아 집중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극소 저체중아 수는 1993년 929명에서 2011년 2천935명으로 3배 이상 크게 늘어 국가적 대처가 시급한 상황이다.
극소 저체중아의 경우 패혈증 등 여러 중증 합병증을 동반, 신생아 사망률을 높일 뿐 아니라 성장·발달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어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부터 신생아 집중치료를 시작해 현재 일부 병원에서 극소 저출생아(1.5㎏미만)와 초극소 저출생아(1㎏미만)의 생존율이 각각 83%, 60% 정도로 집계되고 있지만 전체 평균이 85~89%에 이르는 미국·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조명찬 보건연구원장은 “극소 저체중아 네트워크 구축, 등록 사업 결과는 예방·관리대책 수립 근거로 활용돼 궁극적으로 신생아의 생존율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