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중앙銀, 금값 폭락으로 626조원 손실”

“전세계 중앙銀, 금값 폭락으로 626조원 손실”

입력 2013-04-17 00:00
수정 2013-04-17 15: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금값 폭락으로 한국은행의 외환보유액 평가가치가 떨어졌다는 비판이 일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공통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는 17일 세계금위원회 통계를 인용해 “중앙은행들은 현재 전세계 금 유통량의 19%(3만1천695t)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값 폭락의 가장 큰 피해자”라고 보도했다.

 금값 폭락으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본 피해는 총 5천600억 달러(약 626조원)로 집계됐다.

 금값이 지난 2년간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자 국내에서는 한국은행이 보유한 금의 평가액이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금 가격이 이미 정점에 도달한 이후에 투자를 늘린 것이 뒤늦은 조치가 아니었느냐는 비판이다.한은은 2010년 김중수 총재 취임 이후 외화 보유액의 상품 다변화를 위해 금 보유량을 전체 외화보유액의 0.03%에서 현재 1.5%까지 늘렸다.

 그러나 중앙은행의 시름은 한국은행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세계금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각국의 중앙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보유한 금의 가치는 최고치인 1조9천600억 달러에서 1조4천억 달러로 급감했다.

 특히 작년 한 해 동안 중앙은행들은 금 보유량을 총 534.6t 늘렸다.증가량은 1964년 이후 최대다.

 미국과 독일은 외환보유고의 70% 이상이 금이고 러시아는 지난 7년간 금 매입 규모를 늘렸다.

 한편 올해 들어 금 관련 상장지수상품(ETP)의 가치는 372억 달러 떨어졌다.금 관련 펀드에서는 올해 들어 지난 10일까지 112억 달러가 순유출했다.

 골드만삭스는 전날 보고서에서 “키프로스가 금을 대량 매도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퍼지면서 다른 유럽 중앙은행들이 금을 현금화할 가능성까지 제기되자 원자재 시장에서 금 매물이 쏟아졌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