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타파·ICIJ 기자회견 일문일답

뉴스타파·ICIJ 기자회견 일문일답

입력 2013-06-03 00:00
수정 2013-06-03 1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인터넷 독립언론인 뉴스타파 이근행 총괄 프로듀서(왼쪽부터), 김용진 대표, 최승호 프로듀서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와의 공동 작업을 통해 확인한 ‘조세피난처 프로젝트’ 4차 명단을 발표한 뒤 취재 자료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3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인터넷 독립언론인 뉴스타파 이근행 총괄 프로듀서(왼쪽부터), 김용진 대표, 최승호 프로듀서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와의 공동 작업을 통해 확인한 ‘조세피난처 프로젝트’ 4차 명단을 발표한 뒤 취재 자료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비영리 독립언론 뉴스타파의 김용진 대표는 3일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남 전재국 시공사 대표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블루 아도니스’란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했다고 공개했다.

특히 페이퍼컴퍼니가 세워진 시기가 전 전 대통령의 차남이 비자금 은닉 의혹을 받던 시점임을 고려할 때 블루 아도니스 역시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을 숨겨놓은 곳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싱가포르의 한 외국계 은행이 한국인을 상대로 ‘역외 탈세 도우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다른 정치인 명단이 나올 가능성에는 “차례로 정리해서 기회가 되면 공개하겠다”고 답했다.

다음은 김 대표와의 일문일답

-- 취재 과정에서 발굴한 자료 중 전재국 씨의 비자금 규모를 짐작할 만한 부분이 있나.

▲ 그런 자료는 나오지 않았다. 다만, 뉴스타파가 싱가포르 아랍은행을 방문해 취재했다. 일반 소매 영업은 하지 않는 전형적인 프라이빗뱅킹(PB) 영업 은행이다. 큰 손들의 고객들을 위주로 한다.

저희도 놀랐는데 그곳에 한국인 간부 직원이 두 명 있다. 한국인 큰 손들이 그 은행을 상당히 많이 이용하지 않나 추정한다.

2차 명단에서 발견한 조민호 전 SK증권 부회장도 그 은행을 이용했다. 상당한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뉴스타파 이근행 PD) 곧 홈페이지에 올라가는, 취재 동영상에 나오는 아랍은행 관계자의 입을 통해서 (규모를) 짐작은 할 수 있을 것이다.

-- 2004년에도 검찰이 전재용씨의 73억원을 찾아놓고 결국 추징하지 못했다. 그 돈이 전재국씨의 페이퍼컴퍼니로 갔을 가능성도 있나.

▲ 그런 증거는 전혀 없다.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도 전혀 모른다. 여러 곳에 돈들이 잠겨 있는 게 아닌가 보고 있다. 혹시 이 계좌도 그런 계좌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뉴스타파 최승호 앵커) 다만 그 시점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둘째 아들에게 흘러간 점이 발견된 상황이다. 이 돈을 추징해야 한다는 국민 여론이 비등했다. 그때 페이퍼컴퍼니를 만들고, 계좌를 만든 것이다. 또 그 과정에서 설립대행사가 서류를 분실해 전재국 씨가 화가 났다. 이런 내용을 보고 추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근행PD) 73억원이 어디로 갔는지는 검찰이 알 것이다.

-- 전씨가 이 회사를 최소한 6년 이상 보유했다고 했는데 그게 무슨 의미인가.

▲ 저희가 배포한 증빙자료를 보면 회사상태가 아직 ‘살아있다(Active)’는 기록이 있다. 이 자료가 유출된 것은 2010년 상반기다. 설립일부터 그때까지 활동상태였다는 것이다.

(이근행PD) 조민호 전 SK증권 부회장이 세운 유령회사 역시 ‘액티브(Active)’로 돼 있다. 자료가 외부로 유출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굳이 회사를 폐쇄할 필요성을 못 느꼈을 것이다. 대부분 살아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 또 다른 정치인 명단은 확인했나.

▲ 그건 저희가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기회가 되면 공개하겠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