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충전기, 모델 구별 없이 쓸 수 있게 표준화

노트북 충전기, 모델 구별 없이 쓸 수 있게 표준화

입력 2013-06-27 00:00
수정 2013-06-27 09: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표준화 추진과제 40개 발표…음식점 밥 한공기 양도 맞춰

노트북 충전기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를 골라 우선 표준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27일 40개 표준화 과제를 발굴해 내년까지 개선하는 ‘국민행복 표준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편안한 사회, 함께하는 사회, 풍요로운 사회 등 3가지 분야로 나눠 일상생활과 관련이 깊은 항목을 먼저 표준화한다는 것이다.

충간 소음을 방지하는 충격매트와 대체 보완품의 품질기준·시험 방법 표준화,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승차감 평가기준, 차량 내비게이션 안전 요구 사항, 자동차 블랙박스 품질기준 등이 편안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표준화 과제로 선정됐다.

다양한 노트북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충전기를 만들도록 노트북 충전기 호환 기준도 표준화 과제에 포함됐고 진공청소기 소음 최소화 기준, 에너지절감 건축 단열소재 기준 등 13가지 항목의 표준을 제정해 생활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표준화도 추진한다.

전동휠체어 배터리 호환기준, 시각장애인용 디지털 도서 요구 사항, 초보·고령 운전자 차량 표시 마크, 노약자·장애인용 화장실 비상벨 위치, 노인복지관 서비스 기준, 어린이 놀이기구 안전요구사항, 상조회 서비스 등 13개 항목을 표준화한다.

음식점 밥 한 공기 용량, 스키장 서비스 기준, 한국인의 체형을 고려한 의복 치수, 영화 상영 서비스 기준, 자동차 보험 서비스 기준, 기능성 의류 품질 기준, 자동차 정비 서비스 기준, 폐차 서비스 기준 등 풍요로운 사회 항목에서 14가지를 표준화한다.

기표원은 소비자와 사회복지단체가 참여하는 국민행복표준협의회(위원장 송보경)를 출범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국민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