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안찾아간 로또 당첨금 1천780억원

5년간 안찾아간 로또 당첨금 1천780억원

입력 2013-07-23 00:00
수정 2013-07-23 06: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천원짜리 5등 미수령금 1천94억원으로 가장 많아

최근 5년간 로또 복권에 당첨됐으나 찾아가지 않은 당첨금이 무려 1천78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한 복권판매점에서 한 시민이 복권을 사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복권판매점에서 한 시민이 복권을 사고 있다.
연합뉴스


이중 5등 당첨금의 미수령액이 전체의 61.5%인 1천94억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안민석 의원은 23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부터 올해 7월 15일까지 로또 복권에 당첨되고도 찾아가지 않은 당첨금이 1천780억3천200만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연도별 미수령 당첨금은 ▲2009년 408억1천600만원 ▲2010년 387억원 ▲2011년 225억6천900만원 ▲2012년 474억100만원 ▲2013년(7월 기준) 285억4천600만원이었다.

등수별로는 당첨금이 5천원으로 고정된 5등 당첨금의 미수령액이 가장 많았다.

5등 당첨금 미수령액은 5년간 1천94억6천900만원(2천189만3천709건)으로 전체 미수령액의 61.5%를 차지했다.

복권위 관계자는 “5등은 당첨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어 당첨자들이 쉽게 잊거나 절차를 거치면서까지 굳이 찾아가려 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미수령 액수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814만분의 1’의 확률로 1등에 당첨된 이들이 각 19억5천만원(단순 평균금액)에 이르는 당첨금을 찾아가지 않은 사례도 15건이나 돼 눈길을 끈다.

1등 당첨자의 미수령 당첨금은 ▲2009년 50억5천600만원 ▲2010년 18억4천200만원 ▲2011년 62억3천900만원 ▲2012년 89억4천만원 ▲2013년 71억4천900만원으로, 5년간 미수령액은 292억2천600만원에 달했다.

이어 미수령 당첨금 규모는 4등 253억9천200만원(47만420건), 3등 70억6천만원(4천923건), 2등 68억8천600만원(128건) 순으로 컸다.

미수령 당첨금은 추첨일로부터 12개월이 지나면 소멸시효가 완성돼 더이상 찾을 수 없게 된다.

복권위 관계자는 “소멸시효가 지난 당첨금을 돌려받겠다는 분쟁이 생긴 경우는 아직 한번도 없었다”고 전했다.

소멸시효가 완성된 미수령당첨금은 기획재정부 소관 복권기금에 편입, 공익사업에 활용된다.

’2012년도 복권정보공개’에 따르면 지난해 복권기금 수납액은 40조933억1천900만원으로, 미지급 당첨금 556억9천300만원이 투입됐다.

연합뉴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