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브랜드 담배명 ‘라이트’ 등 오도문구 수두룩

외국브랜드 담배명 ‘라이트’ 등 오도문구 수두룩

입력 2013-07-25 00:00
수정 2013-07-25 0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 담배회사들이 판매하는 제품명에 담배의 해악이나 위험을 낮게 평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소지가 있는 ‘오도 문구’가 난무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제이티인터내셔널코리아㈜(이하 JTI코리아)가 국내에서 판매하는 17종의 담배 가운데 9종의 제품명에 ‘라이트’ 등 문구를 붙이고 있다.

지난 3월 36년 만에 ‘마일스세븐’에서 명칭을 바꾼 ‘메비우스’ 제품 가운데는 ‘메비우스 라이트’, ‘메비우스 LSS 슈퍼 라이트 3mg’, ‘메비우스 슈퍼 라이트’, ‘메비우스 LSS 라이트’ 등 4종류가 이에 해당된다.

또 ‘카멜 라이트’, ‘카멜 슈퍼 라이트’, ‘윈스턴 XS 라이트’, ‘윈스턴 XStyle 라이트’, ‘살렘 라이트’ 등에도 소비자가 덜 해롭다고 평가할 우려가 있는 ‘라이트’가 붙어 있다.

한국 필립모리스 제품 중에서는 ‘팔리아멘트 라이트’, ‘팔리아멘트 마일드 3mg’, ‘버지니아 슈퍼슬림 라이트 4mg’ 등 3종이,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 제품 중에는 ‘덜힐 라이트’가 해당 문구를 사용중이다.

담배 제품명에 쓰이는 ‘라이트’나 ‘마일드’는 소비자로 하여금 해당 제품이 “덜 독하다”는 판단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지난 4월 담배 광고와 판촉 활동을 제한하는 내용의 ‘가족 흡연 방지 및 담배 통제법’’이 표현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담배 제조 업체들의 소송을 기각, 담뱃갑에 ‘라이트’, ‘마일드’ 등을 쓰지 못하도록 한 연방 정부의 손을 들어줬다.

비록 각계 반대로 무산되긴 했지만, 국내에서도 담뱃갑 인상 논의와 함께 담뱃갑에 경고 그림 삽입, ‘오도 문구’ 사용 제한 등을 골자로 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 작업도 추진됐다.

이런 추세를 반영해 국산 담배에서는 이런 문구가 사라졌다.

KT&G는 지난 2월 ‘라이트’와 순(純) 등 오도문구가 들어간 제품 5종 가운데 4종의 제품명을 변경했다.

한편, 담배 규제 강화를 위한 보건복지부의 법 개정 노력이 국회에서 발이 묶인 가운데 민주당 양승조 의원은 최근 담배 제품에 붙는 국민건강증진부담금과 담배소비세율을 인상하는 내용의 국민건강증진법 및 지방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