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장비 없이 양악수술하는 성형외과 수두룩”

“응급장비 없이 양악수술하는 성형외과 수두룩”

입력 2013-10-18 00:00
수정 2013-10-18 1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동익 의원 국감자료 통해 지적

전신마취가 필요한 성형수술을 시행하는 성형외과가 많아졌지만 응급의료장비를 갖추지 않은 곳이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최동익 의원은 성형외과를 둔 의료기관 1천91곳 가운데 77%가 심정지 상황에 필요한 심장충격기와 인공호흡기 중 어느 것 하나도 구비하지 않았다고 18일 밝혔다. 두 장비를 모두 구비한 곳은 전체 성형외과의 17%에 불과했다.

의원급은 819곳 중 95%인 782곳에 이들 두 장비를 하나도 보유하지 않고 있었다.

특히 전국 성형외과의 44%가 몰려 있는 서울시는 전국 평균보다 낮은 17%의 병의원만 응급장비를 갖추고 있다. ‘성형1번지’ 강남구에서 응급의료장비를 갖춘 곳은 1%에 그쳤다.

이처럼 의료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양악수술이나 유방확대술 등 전신마취가 필요한 수술을 하는 곳이 많아져 이에 따른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고 최 의원은 지적했다.

최 의원은 “항공기, 열차, 심지어 12명 정원 선박내부에도 자동제세동기(심장충격기) 설치가 의무인데 전신마취가 늘어나는 성형외과는 응급의료장비 구비 논의가 없어 환자들이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개선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지난 13일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가해학생에게는 관대하고 피해학생에게는 가혹한 학교폭력 조치 기준은 이제 바꿔야 한다”며 조치 기준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황 의원은 최근 심의 사례를 언급하며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히고도 사회봉사에 그치는 약한 처분이 반복되고 있다”며 “피해학생이 다음 날 가해학생과 같은 학교에 등교해야 하는 현실은 잘못된 기준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행 교육부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별 적용 세부기준 고시’는 2016년에 제정된 이후 개정 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황 의원은 “현재 조치 기준상 피해의 심각성이 크더라도 ‘일회성’으로 판단되면 강한 처분이 내려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학교폭력 조치 기준이 1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또 가해학생의 반성문·화해 노력 등이 조치 점수에서 과도하게 반영되는 점도 지적했다. 황 의원은 “반성문 몇 장만 제출해도 점수가 낮아져 중한 처분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구조”라며 “현재 조치 점수 체계는 가해학생 중심적이며, 피해학생 보호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thumbnail -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