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수요에 굴·새우값 한달새 급등

김장 수요에 굴·새우값 한달새 급등

입력 2013-11-20 00:00
수정 2013-11-20 07: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굴 도매가격 한달새 47.5% 상승

제철을 맞았지만 일본 방사능 파문의 여파로 수요가 뜸했던 굴과 새우 등 수산물 가격이 한달새 크게 올랐다.

배추 풍년을 맞아 김장을 직접 담는 가정이 늘며 부재료로 사용되는 수산물 소비가 덩달아 늘어난 효과다.

20일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가락시장에서 굴의 이달 평균 도매가는 특등급 기준 1㎏에 1만3천889원으로 지난달 평균 9천418원보다 47.5% 급등했다.

상등급 기준은 ㎏당 1만543원으로 전월 대비 43.6% 뛰었다. 남해·사천 등 산지 위탁판매 가격 기준으로도 지난 18일의 경우 ㎏당 8천959원으로 한달 전보다 42.2% 상승했다.

생새우의 경우 상등급 5㎏들이 한 상자의 이달 평균 가락시장 도매가가 3만3천639원으로 지난달보다 35.8% 올랐다.

역시 김장 속재료로 사용되는 낙지의 경우 수입 중등급이 3㎏ 한 상자에 2만969원으로 지난달보다 평균 14.8% 상승했다.

마트 소매가도 오름세로 전환, 롯데마트에서는 지난달 중순부터 135g들이 봉지굴을 1천800원에 할인 판매하다 최근에는 같은 제품을 2천900원에 유통 중이다.

롯데마트 황규탁 롯데마트 수산 상품기획자는 “본격적인 김장철에 들어서며 생굴 수요가 늘어 가격이 크게 올랐다”며 “올해는 김장을 직접 담는 가정이 늘어난 만큼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