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신용카드로 5만원 이상 결제하면 공짜로 문자 알림을 받게 된다. 지금은 돈을 내고 신청해야 한다. 이르면 이달 중에 시행될 전망이다.
6일 금융 당국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건당 5만원 이상 결제에 대해 휴대전화 문자알림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부정 사용 등에 따른 고객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예컨대 자신이 쓰지도 않았는데 ‘5만원이 결제됐다’는 문자가 휴대전화로 전송되면 즉시 카드사에 신고해 결제를 취소하거나 보상받을 수 있다. 올 초 1억여건의 고객 정보 유출 사태를 일으킨 국민·농협·롯데 3개 카드사부터 먼저 시행할 방침이다. 신한, 삼성, 현대, 우리, 하나SK 등 다른 카드사들도 동참할 예정이다.
그동안 카드업계와 당국은 고액 결제에 대해서는 문자 알림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데 대체로 뜻을 모았으나 ‘고액’ 기준을 놓고 의견이 갈렸다. 업계는 5만원을, 당국은 3만원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 카드사는 무료 제공 자체를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카드사들의 부담 등을 감안해 5만원으로 결론지었다. 금융감독원 분석에 따르면 5만원 이상 거래에 대해 문자알림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 연간 56억원, 3만원 이상에 적용하면 89억원의 비용이 각각 카드업계에 발생한다. 업계는 기존 유료 회원의 무료 전환 비용까지 추산하면 최대 300억원이 넘는다고 주장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문자알림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회원의 상당수는 요금 부담보다는 사생활 노출을 꺼려서”라며 “세부 조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6일 금융 당국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건당 5만원 이상 결제에 대해 휴대전화 문자알림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부정 사용 등에 따른 고객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예컨대 자신이 쓰지도 않았는데 ‘5만원이 결제됐다’는 문자가 휴대전화로 전송되면 즉시 카드사에 신고해 결제를 취소하거나 보상받을 수 있다. 올 초 1억여건의 고객 정보 유출 사태를 일으킨 국민·농협·롯데 3개 카드사부터 먼저 시행할 방침이다. 신한, 삼성, 현대, 우리, 하나SK 등 다른 카드사들도 동참할 예정이다.
그동안 카드업계와 당국은 고액 결제에 대해서는 문자 알림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데 대체로 뜻을 모았으나 ‘고액’ 기준을 놓고 의견이 갈렸다. 업계는 5만원을, 당국은 3만원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 카드사는 무료 제공 자체를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카드사들의 부담 등을 감안해 5만원으로 결론지었다. 금융감독원 분석에 따르면 5만원 이상 거래에 대해 문자알림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 연간 56억원, 3만원 이상에 적용하면 89억원의 비용이 각각 카드업계에 발생한다. 업계는 기존 유료 회원의 무료 전환 비용까지 추산하면 최대 300억원이 넘는다고 주장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문자알림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회원의 상당수는 요금 부담보다는 사생활 노출을 꺼려서”라며 “세부 조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5-0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