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견기업 성장에 19.4년 걸려”

“중소기업→중견기업 성장에 19.4년 걸려”

입력 2014-05-22 00:00
수정 2014-05-22 07: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평균 19.4년이 걸린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여기서 중견기업은 자본금이 80억원 이상, 근로자 300명 이상 1천명 미만인 기업을 지칭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11∼2013년 중소기업을 졸업한 초기 중견기업 239개사를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10년 이상∼20년 미만 걸린 기업이 30.5%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년 이상∼30년 미만(26.4%), 10년 미만(25.1%), 30년 이상(18.0%) 순이었다.

수출기업보다 내수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평균 17.8년 걸렸으나 내수에 초점을 둔 기업은 평균 20.3년 소요됐다.

중소기업 딱지를 떼고 중견기업이 돼보니 단점이 많다고 답한 기업은 57.4%로 장점이 많다는 기업(9.9%)보다 6배가량 많았다.

중소기업을 졸업하고 줄어든 지원 가운데 가장 아쉬운 것으로는 ‘세제지원’(77.0%)을 꼽았다. 이어 ‘정책자금 지원’(12.6%), ‘인력지원’(4.9%) 순이었다.

중견기업의 장점으로는 ‘기업위상 제고’(52.7%), ‘규모의 경제효과’(13.7%), ‘인력확보 용이’(11.2%), ‘민간자금 조달 용이’(10.7%) 등이 거론됐다.

중견기업 반열에 오르고 나서 투자를 늘린 기업은 29.7%로 줄였다는 곳(4.6%)보다 많았다. 하지만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답변이 65.7%로 가장 많았다.

지속성장을 위한 성장동력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답한 기업이 67.8%로 절반을 넘었다.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판로확보’(34.7%), ‘연구개발’(22.2%), ‘신산업 진출’(15.5%), ‘인력확보(10.9%)’ 등을 꼽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