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서 가계 비중 13년만에 최저

은행권 대출서 가계 비중 13년만에 최저

입력 2014-05-25 00:00
수정 2014-05-25 1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값 하락으로 대출가능 금액 줄어…가계소득 둔화도 원인

은행의 총 대출금 가운데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3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부동산시장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집값이 떨어지자 가계가 집을 담보로 은행권에서 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든 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된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은행이 가계에 빌려준 돈은 481조1천131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41.7%를 차지했다. 이는 2000년 가계대출 비중이 35.1%를 기록한 이래 가장 낮다.

국내 은행들의 가계대출 비중은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27.7%, 1999년 31.6% 수준이었지만 2000년부터 40%대로 뛰어올랐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도산으로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자 기업대출에 집중하던 은행이 가계에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2001년 44.1%에서 2005년 49.8%로 정점을 찍은 가계대출 비중은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2007년부터 둔화하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미국발 금융위기 여파로 42%대로 떨어졌고, 2010년부터 4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시장의 장기 불황과 주택담보대출을 갚는데 어려움을 겪는 ‘하우스푸어’의 등장이 가계대출 비중 축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예를 들어, 가계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60%를 적용받고 시가 10억원짜리 아파트를 은행에 담보로 잡힌다면 최대 4억원(40%)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집값이 8억원으로 떨어지면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돈도 3억2천만원으로 줄어든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으니 가계가 은행에서 새로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졌다”며 “가계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자영업자 대출의 경우, 빚을 내기보다 퇴직 후 은퇴자금으로 창업하는 베이비부머가 늘어 감소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가계의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자 총부채상환비율(DTI)에 따른 대출 가능 한도 또한 정체됐다. DTI는 담보대출을 받는 채무자의 소득으로 대출금을 얼마나 잘 갚을 수 있는지 판단해 대출 한도를 정하는 제도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비중이 감소한 사이 저축은행, 상호금융사 등 은행이 아닌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비중은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비은행예금취금기관의 대출금 총액 중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44.5%에서 6년 연속 증가해 작년에는 57.2%를 기록했다.

전체 가계대출 가운데 비은행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처음으로 50%를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해 말 현재 가계대출 963조99억원 중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206조551억원)과 보험기관·여신전문기관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275조8천236억원)을 합치면 481조8천787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50.03%다.

가계가 빌린 돈의 절반이 저축은행·상호신용금고 등에서 나온 셈인데,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문턱’이 높아졌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건범 한성대학교 교수는 “가계 소득이 악화하고 일자리 여건이 나빠져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사례가 증가하면 은행권이 대출 심사를 엄격하게 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높지만, 심사 여건이 더 낮은 제2금융권으로 가계대출 수요자들이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