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외국인 33조원규모 토지 보유…국토의 0.2%

한국서 외국인 33조원규모 토지 보유…국토의 0.2%

입력 2014-05-28 00:00
수정 2014-05-28 13: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면적 227㎢…중국인이 1분기에 가장 많이 땅 사들여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토지가 공시지가 기준으로 33조여원어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분기 말 기준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토지의 면적이 2억2천744만㎡(227.44㎢)로 전체 국토 면적(10만188㎢)의 0.2%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금액(공시지가 기준)으로 환산하면 33조352억원이다.

올 1분기에 외국인이 사들인 땅은 352만㎡, 처분한 땅은 201만㎡로 전체적으로는 151만㎡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5천928억원 늘었다. 작년 말과 비교해 면적은 0.67%, 금액은 1.83%가 각각 증가했다.

중국인이 1분기에 국내 땅을 가장 열심히 사들였다. 이들의 보유 토지는 78만㎡ 늘었다.

그 뒤를 미국인(증가분 42만㎡), 유럽인(33만㎡), 일본인(4만㎡)이 이었다. 기타 외국인의 국내 땅 보유분은 6만㎡ 감소했다.

외국인이 사들인 땅을 매수 주체의 성격·신분에 따라 나눠보면 순수 외국인이 89만㎡, 합작법인이 31만㎡, 순수 외국법인이 22만㎡, 외국국적 교포가 3만㎡, 정부·단체가 6만㎡였다.

용도별로는 임야·농지 등이 87만㎡, 공장용지가 22만㎡, 주거용지가 19만㎡, 상업용지가 17만㎡, 레저용지가 6만㎡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44만㎡, 강원이 44만㎡, 경북이 17만㎡ 증가한 반면 충남과 경남은 2만㎡씩 감소했다.

1분기 말 기준 외국인 토지 보유 현황을 매수 주체의 성격·신분에 따라 나눠보면 외국국적 교포가 1억2천571만㎡(55.3%)의 땅을 보유해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합작법인이 7천269만㎡(32.0%), 순수 외국법인이 1천646만㎡(7.2%), 순수 외국인이 1천201만㎡(5.3%), 정부·단체가 57만㎡(0.2%)를 각각 보유하고 있었다.

국적별로는 미국이 1억2천273만㎡(53.9%), 유럽이 2천433만㎡(10.7%), 일본이 1천705만㎡(7.5%), 중국이 791만㎡(3.5%), 기타 국가가 5천542만㎡(24.4%)의 분포를 보였다.

용도별로는 임야·농지가 1억3천425만㎡(59.0%), 공장용지가 6천750만㎡(29.7%), 주거용지가 1천524만㎡(6.7%), 상업용지가 603만㎡(2.7%), 레저용지가 442만㎡(1.9%)였다.

시·도별로는 경기 3천954만㎡(17.4%), 전남 3천745만㎡(16.5%), 경북 3천655만㎡(16.1%), 충남 2천105만㎡(9.3%), 강원 1천969만㎡(8.7%)의 순서를 보였다.

다만 토지가액을 기준으로 하면 서울이 9조8천979억원(29.9%), 경기가 6조6천681억원(20.2%), 부산이 2조7천787억원(8.4%), 인천이 2조5천372억원(7.7%)으로 순위가 달라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