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銀 이사진 간담회…이견 좁히는 데 실패

국민銀 이사진 간담회…이견 좁히는 데 실패

입력 2014-06-17 00:00
수정 2014-06-17 16: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산시스템 교체를 두고 갈등을 빚은 국민은행 이사진이 17일 비공개 간담회를 열어 사태 해결방안을 논의했으나 이견을 좁히는 데에는 실패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이사진은 이날 서울 모처에서 이건호 행장과 정병기 상임감사 등 사내이사와 김중웅 이사회 의장 등 사외이사 6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어 최근 현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는 이건호 행장의 제안으로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KB 관계자는 “다음번 이사회를 앞두고 미리 얼굴을 맞대고 엉킨 실타래를 풀어가자는 의도로 이 행장이 모임을 제안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행장과 정 감사는 이날 간담회에서 금융감독원 검사 결과나 징계 통보와는 별도로 현재 중단된 전산시스템 교체 사업을 어떻게든 다시 진행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의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은행 경영진은 유닉스(UNIX) 체제로 전환하기로 한 전산시스템 교체 사업에 1개 사업자만 입찰에 참여하자 지난달 30일 경영협의회를 열어 IBM 메인프레임 시스템을 포함해 전산 교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 제안은 같은 날 저녁 열린 긴급 이사회에 상정됐으나 사외이사들의 반대로 채택이 불발됐다.

사외이사들은 금감원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일정 진행을 유보한다는 지난달 30일 긴급 이사회 결정을 이날 간담회 자리에서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날 간담회는 사실상 별 진전을 보지 못한 셈이다.

KB의 다른 관계자는 “갈등 사태 해결과 관련해 간담회에서 별다른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이사들은 어떻게든 타결책을 모색해 현 상황을 풀어가야 한다는 데에는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호 행장은 “무언가를 결정하는 성격의 자리가 아니었다”며 “전산 교체 문제 이외에 다른 경영 관련 사항들도 보고드리고 의견을 구했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 행장과 사외이사 양측의 갈등의 골이 워낙 깊다 보니 해결방안을 모색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