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조정 차질… 디폴트 우려” S&P, ‘CCC-’로 두단계 강등
아르헨티나가 채무불이행에 처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가 신용등급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월호 참사’로 가뜩이나 경기가 위축된 한국 경제에 또 다른 악재가 될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아르헨티나발(發) 충격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글로벌 신흥국으로 위기가 전이된다면 세계 경제가 또 한번 출렁거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17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신용등급을 ‘CCC-’로 기존보다 두 계단 낮췄다.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제시해 추가 강등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번 강등으로 아르헨티나는 S&P가 신용등급을 부여한 세계 모든 국가 중 최저 등급이다. S&P 측은 “아르헨티나가 미국 헤지펀드를 상대로 낸 채무조정 신청을 미국 대법원이 각하해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르헨티나는 2001년 1000억 달러(102조원) 규모의 부채에 대해 디폴트를 선언한 이후 채권자들과 채무 조정을 협의해왔다.
국내 전문가들은 아르헨티나 위기가 브라질과 칠레 등 다른 중남미 국가로 전이되지 않는다면 국내에 직접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안기태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1월에는 브라질과 터키, 인도네시아, 인도 등 신흥국들의 금융이 불안한 상황에서 미국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진행하니 국내 증시에 영향을 줬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다른 신흥국과 묶여 있는 것도 아니어서 (아르헨티나) 그 자체로는 별다른 위협이나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동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아르헨티나 디폴트 문제는 오래됐고 이미 글로벌 금융 시장에 반영됐다”면서 “다만 아르헨티나 사태가 브라질 등 재정 건전성이 좋지 않은 다른 중남미 국가로 전이된다면 문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4-06-1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