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특집] 한국전력공사, 스마트그리드 구축… 전력사용 효율 업그레이드

[에너지 특집] 한국전력공사, 스마트그리드 구축… 전력사용 효율 업그레이드

입력 2014-06-25 00:00
수정 2014-06-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전에 스마트그리드는 현재이자 미래형인 화두다. 스마트그리드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기존 전력망을 지능화·고도화해 고품질의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말한다. 한전은 정부 로드맵에 따라 2009년 12월부터 올 5월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인 제주도에서 지능형전력망, 소비자, 운송, 신재생, 전력서비스 등 5개 분야에서 다양한 기술 실증과 상용화 모델을 개발했다.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해서는 지능형전력계량기(AMI)와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2월 한전 경기 구리·남양주지사에서 열린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시범사업 준공식에서 조환익(왼쪽 두 번째) 사장이 시스템 운영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한전 제공
지난해 2월 한전 경기 구리·남양주지사에서 열린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시범사업 준공식에서 조환익(왼쪽 두 번째) 사장이 시스템 운영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한전 제공
한전은 AMI 전담반을 구성해 2016년까지 1000만 가구, 2020년까지 2194만 가구에 약 1조 7000억원 규모의 중·장기 AMI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ESS 사업도 적극적이다. ESS를 활용하면 전기를 덜 쓰는 시간대에 발전한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풍력, 태양광 등 전력의 생산이 불규칙한 발전원을 불편 없이 이용하려면 ESS는 필수적이다.

이 외에도 현재 디젤발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도서지역 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 전력공급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마이크로그리드에는 풍력, 태양광 등의 신 재생 발전원과 ESS를 적용할 계획이다. 한전은 육지와 떨어진 국내 120여개 도서지역에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확대 보급하면 연간 약 160억원의 전력공급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4-06-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