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좌우 바뀐 엑스레이 필름으로 환자진료

이대목동병원, 좌우 바뀐 엑스레이 필름으로 환자진료

입력 2014-06-30 00:00
수정 2014-06-30 1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이 엑스레이 필름의 좌우가 뒤바뀐 줄 모른채 환자들을 진단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의료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대목동병원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4월까지 축농증 환자 578명의 코 엑스레이를 촬영한 뒤 좌우를 바꿔 병원 전산시스템에 올렸다.

문제는 지난해 말부터 가슴 엑스레이를 찍는 곳에서 코도 함께 촬영하다가 발생했다. 좌우가 사전 세팅되어 있는 가슴엑스레이와 달리 코는 좌우를 별도로 표시해줘야 하지만 방사선사가 실수로 이 과정을 빠트린 것이다.

이 가운데 한쪽 코에만 문제가 있어 엑스레이를 촬영했던 사람은 123명이며 나머지는 양쪽 코에 모두 축농증이 있거나 별문제가 없는 환자들로 드러났다. 123명은 축농증이 있던 콧구멍이 아닌 다른 콧구멍을 치료받은 셈이다.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확인한 병원 측은 코 엑스레이 필름을 병원 전산시스템에 잘못 입력한 방사선사와 방사선실 실장에게 시말서를 받는 것으로 징계 절차를 마무리하고 보건복지부 등 감독기관에 사건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병원측은 “축농증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를 찍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며 “수술이 필요한 중증 환자는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정밀 검사를 추가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좌우가 뒤바뀐 채 수술을 한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또 이대목동병원은 “문제가 된 환자들은 모두 약 처방으로 치료가 가능한 경미한 축농증 환자들이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 환자들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