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이주열 합작 금리인하로 가나

최경환·이주열 합작 금리인하로 가나

입력 2014-07-22 00:00
수정 2014-07-22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 인식 공유 조찬회동

한국은행이 다음달 금리 인하 쪽으로 한발 더 옮겨갔다. “우리 경제의 하강(하방) 위험이 더 크다”고 정부와 공개적으로 한목소리를 내며 손을 맞잡았기 때문이다. 정부와 한은 모두 우리 경제가 앞으로 치고 올라갈 힘보다 고꾸라질 확률이 더 높다면서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제주체들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 다만, 하강 위험 정도 등 각론에서는 견해차를 드러냈다.

이미지 확대
최경환(오른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프레스센터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최경환(오른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프레스센터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은 총재는 21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프레스센터에서 아침밥을 함께 먹었다. 메뉴는 전복죽이었다. 두 사람은 대학 선후배(이 총재가 연세대 5년 선배) 인연과 최 부총리가 사회초년병 시절 한은에서 반년쯤 근무했던 ‘과거’ 등을 화제 삼으며 웃음꽃을 피웠다. 정은보 기재부 차관보와 장병화 한은 부총재 등 각각 네 사람씩 대동한 채 1시간 남짓 비공개 대화를 이어간 뒤 두 사람은 “세월호 사고 영향으로 경기 회복세가 둔화한 가운데 내수 부진 등 경기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최 부총리는 “금리의 ‘금’자도 꺼내지 않았다”며 “기준금리는 한은 고유의 권한”이라고 말했다. 이는 다분히 수사(修辭)에 가깝다. 앞으로 금리를 내려도 한은의 독자 판단이라는 모양새를 만들어놓는 게 한은은 물론 정부로서도 부담이 덜 하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최 부총리가 취임 뒤 만난 첫 외부 기관장이다. 그만큼 경제 살리기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는 메시지가 ‘전복죽 회동’에 담겨 있다. 최 부총리는 “기재부와 한은은 (거시)경제(정책)의 양 축”이라며 “서로 협력해야 경제가 잘된다”고 강조했다. ‘협력’이라는 단어를 통해 금리 인하를 다시 한번 우회적으로 주문한 셈이다. 시장의 관심사는 이제 ‘새달 인하’가 아니라 ‘인하 폭’(0.25% 포인트 vs 0.5% 포인트)과 ‘인하 횟수’(1번 vs 2번)로 옮겨가는 양상이다. 동결 관측을 고수하던 골드만삭스도 이날 ‘3분기 중 한 차례 인하’로 전망을 수정했다.

그렇다고 정부와 한은이 완벽히 합심(合心)인 것은 아니다. 경기 진단에 있어 정부가 한은보다 비관적이다. 최 부총리는 “경기회복 모멘텀(추진력)이 꺼질지도 모르는 긴박한 상황”이라 “지도에 없는 길을 가야 한다”고 본다. 이 총재는 위험 요인이 있기는 하지만 “3분기 이후 경제성장률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비관적인 게 아니라 한은이 낙관적인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정부와 한은은 오는 24일 성장률 전망 수정치와 2분기 성장률 속보치를 각각 발표한다. 가계부채나 일본식 불황의 늪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최 부총리와 이 총재는 생각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살려야 한다는 것, 그 소비의 주체인 가계가 기업 이익이 느는 만큼 과실(배당, 임금 등)을 공유하지 못해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가 쌓여가고 있다는 데는 두 사람의 생각이 같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7-2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