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상여금 등 특별급여 줄여… 시간제·비정규직 증가도 원인
월급쟁이들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0%대로 떨어졌다. 임시직은 아예 마이너스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에서 물가 상승분을 제거한 것이다.24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직원(상용 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인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올 2분기에 월평균 277만 2643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고작 4813원(0.2%) 늘었다. 이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2011년 4분기(-2.4%)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지난해 2분기 3.4%에서 3분기 2.5%, 4분기 2.1%, 올해 1분기 1.8%로 계속 뒷걸음질쳐왔다. 급기야 올 2분기에는 0%대로 추락했다. 3분기에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질임금이 2분기에 제자리걸음한 것은 기업들이 성과급·상여금 등 특별급여 인상 폭을 크게 줄였기 때문이다. 이 기간에 지급된 특별급여는 월평균 33만 190원으로 1년 전(36만 9564원)보다 10.7% 감소했다.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노동시장 구조가 바뀌고 있는 것도 실질임금 상승률 둔화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월별 신규 취업자 수는 최근 50만∼60만명으로 호조세”라면서 “하지만 실질임금 증가세 둔화로 가구당 실질소득은 줄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고용은 늘어나는데 소비가 살지 않는 ‘모순’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지난 2분기 월평균 125만 3769원으로 1년 전보다 1만 8316원(1.4%) 줄었다. 2010년 4분기(-7.3%) 이후 3년 반 만에 재연된 마이너스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9-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