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밴드 LTE-A 첫 상용화 논란…SKT·KT 결국 법정싸움으로

3밴드 LTE-A 첫 상용화 논란…SKT·KT 결국 법정싸움으로

입력 2015-01-12 01:06
수정 2015-01-12 0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롱텀에볼루션(LTE)보다 4배 빠른 3밴드 LTE-A 기술의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을 놓고 SK텔레콤과 경쟁사 간의 공방이 재점화됐다. 이번에는 법원으로까지 갈등이 옮겨졌다.

KT는 11일 SK텔레콤이 지난 9일부터 3밴드 LTE-A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상용화했다는 내용의 광고를 내보낸 데 대해 서울중앙지법에 광고 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앞서 세계통신장비사업자연합회(GSA)는 지난 7일 펴낸 월간 보고서에서 “SK텔레콤이 지난해 12월 29일 3밴드 LTE-A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밝혔다. 이에 SK텔레콤은 “공신력 있는 국제 협회가 자사의 세계 최초 상용화 주장을 사실상 인정했다”고 해석하고 관련 광고를 내보냈다.

하지만 KT 관계자는 “고객 체험단 100명을 대상으로 한 체험 서비스를 상용화라고 말하는 것은 명백한 허위 과장 광고”라면서 “GSA 월간 보고서는 보도자료를 사실 확인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일종의 업계 소식지로 공신력도 없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 측은 SK텔레콤이 내놓은 갤럭시노트4 S-LTE 단말 100대에 대해 전량 회수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밴드 LTE-A는 스마트폰으로 90분(800MB)짜리 영화 한 편을 22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1-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