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일하면 생활 좋아진다’에 韓20대 43%만 동의

‘열심히 일하면 생활 좋아진다’에 韓20대 43%만 동의

입력 2015-01-13 13:09
수정 2015-01-13 1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미국보다 낮은 응답…”타인 믿을 수 있다” 32%만 응답

열심히 일하면 생활이 더 나아진다는 데에 한국의 20대 중 절반도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LG경제연구원이 세계가치관조사협회의 조사결과(1995~2014년)를 바탕으로 한국·중국·일본·독일·미국 등 5개국의 20대 가치관을 7가지(자율 및 동조·여가·부·신뢰·글로벌 마인드·양성평등·과학 친화) 측면에서 분석·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20대는 ‘자율’과 동시에 ‘동조’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가치관조사협회는 1980년대 초부터 전 세계 사회 과학자들이 4~5년에 한 차례씩 80여개국을 대상으로 각기 다른 문화의 가치관을 조사해 오고 있다.

한국 20대는 2010~2014년 조사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창조적인 생각을 하고 자기 방법대로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자율을 중시하는 항목에 74.4%가 ‘나와 비슷하다’고 답했다.

이는 중국(67.9%), 일본(45.9%)보다는 높고, 독일(79.1%), 미국(71.6%)과 비슷한 수준이다. 2005~2009년 조사의 긍정 응답률(62.0%)보다도 높다.

그러나 동조·순응을 측정하는 ‘다른 사람들이 잘못됐다고 말하는 것을 피하고, 항상 올바로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질문에는 70.3%가 긍정으로 답해 다른 4개국보다 응답률이 높았다.

박정현 책임연구원은 “한국의 20대는 자율적인 존재로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와 동시에 집단에 융화되고자 하는 욕구가 공존한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여가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와 비슷하게 95.1%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부(富)는 모든 사람에게 충분할 만큼 증대된다’는 질문에는 22.1%만이 동조했다. 다른 4개국 모두 40%가 넘지 않았다. ‘열심히 일하면 생활이 나아진다’는 물음에는 43.0%만이 긍정적으로 답해 중국 (54.3%), 미국(46.3%)보다 낮았다.

타인에 대한 보편적인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는 32.2%만이 ‘믿을 수 있다’고 답했고, ‘다른 나라 사람을 얼마나 신뢰하십니까’라는 외국인에 대한 신뢰도 항목에는 31.3%가 긍정적으로 응답해 중국(9.7%), 일본(13.9%)과 함께 낮았다.

응답자의 82.8%는 글로벌 마인드를 가진 것으로 답했으나, ‘외국인 노동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다’고 답한 응답자는 61.0%로 다른 국가들보다 낮았다.

양성평등에 관한 항목에는 38.9%가 긍정적으로 답했고, 응답자의 59.6%는 스스로 과학 친화적이라고 생각했다.

박 연구원은 “한국의 20대는 양성평등 인식이나 외국인에 대한 신뢰도가 중국, 일본과 함께 낮은 편에 속하지만, 자율을 중시하는 모습은 독일, 미국의 20대와 더 닮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다만, 성장에 대한 기대가 주춤하는 현 시점에 ‘함께 잘 살 수 있다’ 혹은 ‘열심히 일하면 생활이 나아진다’라는 믿음과 기대가 높지 않다는 점은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